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陶隱 李崇仁의 樓亭詩 硏究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7.01
24P 미리보기
陶隱 李崇仁의 樓亭詩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36호 / 51 ~ 74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누정(樓亭)에 대해 음영(吟詠)한 편액시와 기문을 통해, 누각과 정자에서의 문학 활동을 중심으로 형성된 누정문화와 그 향유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도은의 <秋興亭記>에는 정자의 주인은 물론 이곳에 온 시인묵객들이 달관의 경지를 체득할 수 있기를 간구하는 도은의 내심이 반영되어 있다. <霜竹軒記>의 경우, 군자의 문화의식을 실현할 수 있는 문학 현장이 바로 승경지 상죽헌이란 점에 깊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星州夢松樓記>는 누정에서 이루어지는 사대부들의 문화활동이 퇴폐와 타락에 흐르는 것을 경계함으로써 스스로가 건전하고 건강한 마음으로 성인(聖人)의 산수 취향을 본받고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처럼 도은의 기문에는 자연과 공존하는 누정을 애호하여 문화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향유하기 위해 솔선하였던 그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이점은 그의 군자적 풍모와 학문정신의 높이와도 무관하지 않다.도은의 누정시에는 누각과 정자에 올라 흥감을 표출하는 시인의 모습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속태(俗態)를 벗은 소나무의 고고한 기상을 감지하게 된다. <題玉田禪師松月軒…>시에서 그는 “소나무 사이에 비친 달을 가장 사랑한다(最愛松間月)”고 음영하며 자신의 내면 또한 밝은 달빛처럼 사물의 이치를 훤히 비추어 통찰하는 경지에 이르기를 희구하고 있음을 보인다. <題尙州風詠亭>시는 문장의 대가로 세상을 울린 목은의 웅준(雄俊) 전아(典雅)한 문학정신을 추앙한 것으로, 스승의 기상을 떠올리며 옷깃을 여미는 도은의 겸공(謙恭)을 알 수 있다. <晴暉堂感興四首 其一其二>시는 한적한 곳에 깃들어 살며 맑은 솔바람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도은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도은의 미의식이 탈속의 지취(志趣)와 상응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은의 누정시는 은사(隱士)의 지조와 기품 있는 삶이 돋보인다. <題鹽州客舍樓次韻>시의 경우, 도은은 백수(白水)와 황국(黃菊)이란 자연물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은사의 시정신을 궁구하고 있다. <驪江樓留別若齋次韻>시는 왕유의 <靑谿>시와 그 의상이 일치하는데, 은사의 삶을 갈망하며 천공(天工)의 대자연과 같은 청정한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題嶺南樓>시는 낙일(落日)의 장관(壯觀)에 대한 감명을 자연 경관의 묘사라는 형상화 방식을 통해 시화함으로써 즉경생의(卽景生意)의 미학을 생성하고 있다. 화자가 여행길에 올라 객지에서 잠시 머무는 사람으로 묘사된 시작(詩作)에는 도은의 시재에서 우러난 청신(淸新)의 이미지와 객창감에서 시름하는 나그네의 적연한 이미지가 교차되어 있다. <登樓代人作>시는 인간의 실존 자체를 비극적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내면의 높은 경지를 보인 작품이다. <浮碧樓次韻錄呈巡問令公>시에서도 인간의 실존적 비극이 내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심의(心意)를 인생무상으로 위무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題僧舍寓軒>시는 객창감에 젖은 심사를 맑은 흥감으로 승화시키고 있어 도은시의 개성이 청신의 미학을 형상화한 사례에 해당하는데, 공감각적 심상과 청신한 미감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그만의 담박한 시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