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한 서정시의 계보와 그 정치성 (The genealogy of ugly lyric poetry and its political n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10
23P 미리보기
추한 서정시의 계보와 그 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9호 / 41 ~ 63페이지
    · 저자명 : 오문석

    초록

    이 글에서는 추한 서정시의 문학사적 흔적을 추적하되,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미학적 의미를 살피고자 했다. 먼저 ‘추(ugliness)의 자율성’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미적 경험은 과학적 진리와 도덕적 가치 판단이 개입하지 않는 순수 자율성의 영역을 추구한다. 그러나 추(ugliness)는 항상 도덕을 동반하려는 경향이 있다. 추는 악과 결합하여 순수한 미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미적 경험의 순수성을 확보하려면 추의 요소를 무력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실제로 추한 현실에 대한 미적 재현에서는 순수한 미적 판단이 성립하기 어렵다. 추한 현실에 대해서는 언제나 도덕적 판단이 동반되기 때문이다. 미적 자율성은 가능하지만, 순수한 추의 자율성은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기 자신을 추(ugliness)의 위치에 두는 경우이다. 이것은 배제와 소외의 경험에서 미적 경험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추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서 추한 주체가 되고자 하는 작품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의도적으로 예술에서 추(ugliness)를 배제하는 것은 그 자체가 현실의 추악함을 은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추한 현실에 대한 미적 재현을 시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작품 자체를 현실 속의 추한 존재로 만들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추(ugliness)에 대한 합리적 재현이 아니라 추에 대한 미메시스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추한 현실이 미화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오히려 현실에서 추(ugliness)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려 한다.
    마지막으로 미적 가상의 자율성을 공격하는 전위적 추(ugliness)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추악한 현실을 망각하고자 미적 가상(aesthetic illusion)의 세계로 도피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들이 추(ugliness)를 도입하는 것은 미적 자율성의 폐쇄적 완결성에 구멍을 내는 시도이다. 이 구멍을 통해서 현실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하고자 한다. 이는 현실에 대한 단순한 미적 재현이 아니다. 오히려 현실 일부를 직접 작품에 도입하여, 미적 가공 행위와 그 가공의 주체에 대한 통념에 도전한다. 제작자로서의 작가보다는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를 제안한다. 선택과 결정의 문제는 작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독자의 몫이기도 하다. 그동안 폐쇄적 완결성의 작품에 안주하던 독자들은 열린 작품 앞에서 불안과 불쾌감을 경험할 것이다. 그러므로 불쾌감에서 쾌감을 도출하는 것은 전적으로 독자의 몫이다. 추의 경험을 미적 경험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독자도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가 된다. 추의 경험은 새로운 미적 경험을 선도하는 전위성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tried to trace the literary history of ugly poetry, but divid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to examine the aesthetic mea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pursues the domain of pure autonomy, where scientific truth and moral value judgment do not intervene; however, the ugliness tends to always accompany morality. The ugliness, combined with evil, makes pure aesthetic judgment impossible; therefore, to ensure the purity of aesthetic experience, it was necessary to neutralize the element of the ugliness. In fac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pur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 representation of ugly reality because it is always accompanied by moral judgment about ugly reality. The aesthetic autonomy is possible, but the autonomy of pure ugliness is difficult to establish.
    Next, it is the case that self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ugliness; this is an attempt to discover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perience of exclusion and alienation. This is the work that wants to be an ugly subject in order to cope with ugly reality. They think that intentionally excluding ugliness from art plays a role of concealing the ugliness of reality. They do not attempt to reproduce the ugly reality, but rather to make the work itself an ugly being in reality. In other words, this is not a rational representation of ugliness, but a mimesis of ugliness; they are critical of the glorification of ugliness. Rather, they try to prove that there is a ugliness in reality.
    Finally, the problem of avant-garde attacking aesthetic autonomy was examined. They are critical of escaping to the aesthetic illusion to forget the ugly reality. The introduction of ugliness is an attempt to open a hole in the closed perfection of aesthetic autonomy, through which the passage to reality is opened. This is not a simpl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reality; rather, it introduces some of reality directly into the work,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idea of aesthetic production and the subject of the production. The authors are more likely to choose and decide than the authors as producers; the problem of choice and decision is not just the authors’ problem but the reader’s. Readers who have been comfortable with closed completedness will experience anxiety and discomfort in front of open works, so it is entirely up to the reader to derive pleasure from discomfort.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xperience of the ugliness into an aesthetic experience, the reader becomes the subject of choice and deter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