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용철 시에 나타난 ‘기술’의 문제 (The Issue of ‘Technology’ in the Poetry of Park Yong-ch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12
34P 미리보기
박용철 시에 나타난 ‘기술’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2권 / 3호 / 47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학중

    초록

    본 연구는 박용철 시에서 ‘기술’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이 박용철 시 세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여기서 ‘기술’은 근대적 기계문명을 추동하는 힘으로 이로 인해 초래된 주체의 파편화와 이미지 상실 문제적 양상은 박용철의 시에서 주요한 특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적 지평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박용철의 시적 대응과 사유를 조명하려는 작업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이것이 박용철의 시에서 ‘순수시’의 지평을 여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박용철에 대한 시적 연구의 경로들은 일반적으로 ‘순수시’와 연관되거나 ‘낭만성’과 그것을 추동하는 ‘고향 상실감’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박용철은 현대시가 마주하는 난관 중에 ‘기술’이 있음을 인식했다. 근대는 과학에 빚지고 있으며 결국 그러한 과학을 우리 앞에 현시하는 것은 ‘기술’임을 박용철은 잘 알고 있었다. 무엇보다 이러한 근대의 힘은 식민지인 조선을 지배하는 힘이기도 했다. 박용철은 그런 점에서 ‘기술’의 문제가 매우 중요한 문제라는 점을 알고 있었다.
    ‘기술’의 문제가 중요한 문제라는 점을 알고는 있었지만 박용철은 자신의 시 세계의 중심에 이러한 문제를 두지는 못했다. 오히려 이 문제는 그의 시론에서 잘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용철의 시에는 근대 ‘기술’에 의해 초래된 주체의 파편화와 주체의 이미지 불가능성이 나타난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그의 단시형 시편인 「해후」, 「인형」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들 시에서는 계량화되고 객체화된 세계 속에서 주체의 이미지가 파편화되고 더 나아가 상실되는 문제적 지점들이 잘 재현되어 있다.
    박용철은 ‘기술’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드러내는 것에 멈춘 것이 아니라 이 문제를 시적 영토에서 본질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사유한다. 그것은 ‘기술’로 인해잃어버린 ‘이미지’를 재창출하는 것이다. 그것은 ‘지속 시간’을 통해 상실한 ‘이미지’를 회복하려는 시도로 나타난다. 때문에 박용철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거의 ‘이미지’로 회귀하여 ‘이미지’를 지금 여기에 도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침하기에 이른다. 우리가 박용철의 시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순수’와 ‘전통’의 ‘이미지’들을 마주하게 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불가능한 시도들을 통해서 박용철은 자연물의 ‘이미지’들 속에 잔존하고 있는 ‘지속 시간’의 ‘이미지’를 감지했다. 더 나아가 이를 미래적 ‘이미지’로 연결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그 대표적인 ‘이미지’가 ‘배’의 이미지이다.
    여기까지 살펴볼 때, 박용철이 추구한 ‘순수시’의 지평은 단순히 시의 본질적인 지평에 놓인 순수를 지향하려는 예술적 태도만으로는 환원되지 않는다. 오히려 ‘순수 시’는 근대 체계 자체와 식민지 근대의 근본적 문제를 명민하게 인식하고 그것이 야기하는 문제를 돌파하려 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순수시’는 근대적 문제를 돌파한 끝에 성취한 시적 사유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technology’ as a central theme in the poetry of Park Yong-chul, exploring its impact on the broader contours of his poetic world. In this context, ‘technology’ is understood as the driving force of modern mechanical civilization, which precipitates the fragmentation of the subject and the loss of imagery-phenomena that emerge as defining characteristics in Park’s poetic oeuvre. By analyzing this critical dimension and illuminating Park Yong-chul’s poetic responses and reflections,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how his engagement with the issue of ‘technology’ contributes to the articulation of a distinct horizon for ‘pure poetry.’ Previous scholarship on Park Yong-chul has predominantly associated his work with the themes of ‘pure poetry,’ ‘romanticism,’ and the ‘sense of loss’ linked to the displacement of ‘home.’ However, Park recognized ‘technology’ as one of the essential dilemmas confronting modern poetry. He acknowledged that modernity, grounded in the advances of science, manifests itself primarily through ‘technology.’ Furthermore, he was acutely aware that this modern force also served as a mechanism of domination over colonial Joseon. Consequently, Park identified ‘technology’ as a significant and unavoidable issue.
    While Park Yong-chul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technology’ problem, he did not position it at the core of his poetic discourse. Instead, this issue is more explicitly addressed in his poetic theories. Nevertheless, his poetry vividly reflects the fragmentation of the subject and the impossibility of sustaining a coherent image of subjectivity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 ‘technology.’ These themes a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his shorter poems, such as Encounter and Doll, which depict a quantified and objectified world where the subject’s image becomes irretrievably fragmented and ultimately lost.
    Park Yong-chul’s engagement with ‘technology’ extended beyond its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he actively sought to address this issue through the medium of poetry. His resolution involved reimagining and restoring the ‘image’ lost in the wake of ‘technology.’ This effort is manifested as an attempt to recover the lost ‘image’ through an exploration of ‘duration’ (la durée). To this end, Park turned to the past, reclaiming ‘images’ from tradi tion and seeking to bring them into the present, thereby reconfiguring their relevance. This is why his poetry prominently features ‘pure’ and ‘traditional’ imagery. Through this seem ingly paradoxical endeavor, Park discovered remnants of ‘duration’ within natural imagery and strove to connect these to the creation of future-oriented ‘images,’ exemplified most notably by the recurring ‘image of the boat.’ Ultimately, the horizon of ‘pure poetry’ that Park Yong-chul pursued cannot be reduced to a mere aesthetic inclination towards poetic purity. Instead, it reflects a profound and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s of modernity and the colonial condition. ‘Pure poetry,’ in this sense, emerges as the crystallization of poetic thought—a product of Park’s efforts to transcend and resolve the existential and epistemological crises posed by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