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억의 詩와 平壤의 장소성 (Kim Eok’s Poetry and the Sense of Place in Pyongy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12
34P 미리보기
김억의 詩와 平壤의 장소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1권 / 4호 / 193 ~ 226페이지
    · 저자명 : 조은주

    초록

    조은주, 2023, 김억의 시와 평양의 장소성, 어문연구, 200 : 193~226 본 연구는김억의 시에 나타난 ‘평양’의 ‘장소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김억의 많은 시편들은 대동강, 능라도, 모란봉 등 평양의 명승지를 특정하며 이러한 장소들은 주체의 ‘상실감’과 연계된다. ‘평양’은 봄꽃이 만발한 축제적 공간이지만 사랑하는 ‘님’이 떠나고 홀로 남은 주체에게 부재와 소멸의 장소이다. ‘대동강’에서 주체는 강물의 파동을 응시하며 ‘애도’의 ‘노래’를 반복하는데 이때 노래는 수심가류의 ‘잡가’와 ‘민요’를 환기한다. 상실의 대상은 연인뿐만 아니라 ‘대동강’ 혹은 ‘평양’으로 표상되는 전통적 노래를 의미한다. 김억이 평양의 쇠락과 민요의 쇠퇴를 안타까워했으며 ‘수심가’를 향한 각별한 마음을 여러 번 피력했던 점 등은 그의 시에 형상화된 평양의 장소성이 전통적 노래의 상실에 관한 인식과 결속되어있음을 보여준다. 요컨대 평양을 배경으로 김억이 집요하게 형상화하는 상실감과노래의 이미지는 평양의 소멸을 애도하는 것이다. ‘평양’에 얽힌 특별한 장소성은김억이 지향한 수심가의 세계와 중첩될 뿐만 아니라 ‘되어가는 장소’로서의 평양의 ‘실천’이며 이는 1920년대 ‘서도 로컬리티’의 연장선상에서 김억의 시를 바라볼 계기를 만들어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lves into the “sense of place” within Kim Eok’s poetry, focusing on Pyongyang and its significance. Kim Eok’s poems intricately detail various landmarks in Pyongyang, including the Taedong River, Neungrado Island, and Moranbong Peak. These places are intimately tied to the “feeling of loss” for the subject in the poems. Pyongyang is depicted as a jubilant space teeming with blooming spring flowers, yet it transforms into a realm of absence and vanishing for the subject once the beloved, “a lover,” departs. In “Daedong River,” the subject gazes at the river’s waves, entwined with “memory,” struggling not to “forget” the person and echoing the “song” of “mourning.” This portrayal exhibits a sense of yearning and loss. The loss depicted in Kim Eok’s work not only signifies the departed lover but also represents the traditional songs embodied by “Taedong River” or “Pyongyang.” Kim Eok’s sorrow over the decline of Pyongyang and the fading of folk songs, along with his recurrent expression of fondness for “susimga” (愁心歌), highlights that the essence of Pyongyang in his poetry is intertwined with the perception of losing traditional songs. In essence, the persistent theme of loss and song in Kim Eok’s poems against the backdrop of Pyongyang signifies mourn ing for the city’s disappearance, signifying the loss of festivities and traditional songs. In essence, the unique essence of “Pyongyang” in Kim Eok’s poetry not only converges with the poet’s world but also reflects the “practice” of Pyongyang as a “place of becoming.” This aligns with the “locality of the western area” (西道) embedded in the works of major figures like Kim So-wol and Ju Yo-han from the 1920s and affords insight into Kim Eok’s poetry as an extension of the locality of the western area (西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