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 on Kim Eok’s poetry and his poetics in 1920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09
33P 미리보기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41호 / 177 ~ 209페이지
    · 저자명 : 여태천

    초록

    1920년대 중반이후 국민문학파, 혹은 민요시파로 불렸던 주요한, 김억, 최남선 등은 민요와 시조를 그 대상으로 삼아 근대적인 조선의 시가를 창출하려고 했다. 서양문학과 일본문학을 통해 근대시의 이상에 심취했던 이들이 불과 10년이 지나지 않아서 자유시를 부정하고 정형시형으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김억이 보여준 일련의 활동은, 조선시가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형식이었다. 그 질문은 서구의 근대적 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우리는 그것을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과정으로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가 보여준 격조시형으로의 급격한 변모의 과정과 자기부정의 이면에는 조선어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이 놓여있었다는 사실이다. 김억은 누구보다도 문학어로서 조선어에 대해 민감했으며, 또한 구체적인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히기도 했다.
    김억이 강조한 것은 언어의 음악성이었는데, 이 음악성은 조선말에 대한, 조선시가에 대한 고민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는 조선시가의 형식이 이러한 조선어의 특성에 기초해야 함을 주장했다. 또한 국민적 시가의 조건으로 언어의 향토성과 언어의 음조미를 내세웠다. 이와 같은 생각은 모두 조선어의 특징에 대한 깊이 있는 관심과 이해 위에서 도출되었다. 김억은 이러한 기본적인 조건을 토대로 격조시형으로서의 조선시가의 형식을 완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mid 1920s, Ju Yo-han, Kim Eok, Choi Nam-Sun etc as a Kookminmunhakpa(A Group of National Literature) or Minyosipa(A Group of folk song), attempted to create modern Chosun-poetry targeting Minyo and Sijo. They turned away from free verse poems to verse with fixed form poems only less than 10 years which they were absorbed in modern poetry ideal by the occident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Especially, Kim Eok’s activity asked the ultimate question of Chosun-poetry in 1920s. That question wa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occidental poetry. So we could think that is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Most important thing is a sudden transformation to Kyeokjosihyong(the set-form verse) and self-denying that Kim Eok showed, due to thoughtful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Kim Eok paid attention to Chosun language as literature language, and he disclosed several times his definite position on Chosun language.
    Greatly interesting, Kim Eok emphasized eumjomi(tonality) of language. Actually it was exposed to worry about Chosun language and Chosun-poetry. He strenuously insisted that Chosun-poetry form was founded on characteristic of Chosun language such as eumjomi(tonality). And he asserted that locality and eumjomi(tonality) are necessaries condition for Chosun-poetry. Kim Eok'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on characteristic of Chosun language made it possible. He tried to make perfect an invention of Chosun-poetry form as Kyeokjosihyong(the set-form ve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