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석 시 연구의 현황과 전망 (A Study on the Statu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Baek Seok’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08
34P 미리보기
백석 시 연구의 현황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34호 / 99 ~ 132페이지
    · 저자명 : 이숭원

    초록

    백석의 시집 『사슴』이 간행되었을 당시의 평문 중에는 박용철의 글을 깊이 음미해 볼 만하다. 그는 백석의 시어가 지닌 특징에 관심을 보였고 평안도 방언이 시어로 활용된 의의를 누구보다도 정확하게 이해했다. 그리고 이 시어 사용이 당시 우리 언어가 직면하고 있는 “혼혈작용”에 대한 의식적인 반발이며 언어의 순수를 지키려는 본질적인 표현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평가는 모더니즘을 축으로 한 김기림이나 오장환의 언급보다 백석 시의 본질에 훨씬 가까이 다가선 것이다. 이후 1940년대나 해방 후의 단편적인 자료를 볼 때 백석은 분명 비중 있는 시인으로 평가된 것이 틀림없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평문은 보이지 않는다. 6·25전쟁 이후 백석은 북한에서 그 체제에 맞는 문학 활동을 펼쳤기 때문에 남한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백석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었고, 전집이 연이어 간행되었다. 이동순의 전집은 최초의 정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송준의 전집은 분단 이후 북한에서의 작품까지 수록하여 원본 표기 그대로 제시하고 당시로서는 가장 성실한 시어 사전을 수록한 점이 높이 평가될 만하다. 김재용의 전집은 백석이 북한에서 발표한 시 전편과 새롭게 발굴한 산문까지 수록하고 그것을 현대어 표기로 조판하여 일반 독자들에게 쉽게 읽힐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 점이 특징이다. 그 후 백석 시 전집의 새로운 체재를 확고히 보여준 것은 고형진의 『정본 백석 시집』이다. 필자의 주해서 『원본 백석 시집』과 전편 해설서 『백석을 만나다』도 이 시기에 간행되었다.
    1990년을 전후한 시기에는 백석 시를 민족현실을 대변한 리얼리즘 시로 고찰하는 글이 많이 발표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백석 시의 새로움에 주목하여 모더니즘이나 미적 근대성과 관련지어 조명하는 작업이 전개되었다. 백석 시의 진실은 이 이분법적 대립의 중긴 지대에 놓일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대립적 시각의 이분법을 극복하고 그 양자를 포괄적인 국면에서 이해하려는 시각이 도입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한편 백석 시의 언술 방식에 대한 연구도 백석 시의 본질을 투사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백석 시의 시어에 대해 고형진, 이숭원, 이동석 등의 연구가 좋은 성과를 거두어 백석 시 해석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백석 시가 일본 시인 다나카 후유지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었는데, 유종호는 다나카 후유지의 전기시와 백석의 초기시를 비교 검토한 후 친연성이 있다고 보고, 이러한 영향이 흠이 되는 것은 아니라 백석이 이 단계를 넘어서서 변모와 성장을 보여준 사실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영향 관계에 대해서는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의 검토와 해석이 필요하다.
    백석 시 연구의 과제로 서술성과 압축성의 결합에 의한 백석의 표현방법에 대한 검토와 이항 대립적 표현방식에 대한 고찰을 제시했다. 그리고 백석 시의 특징으로 흔히 거론되는 여행, 기행, 유랑 등의 용어에 대해서도 의미의 명확한 구분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했다. 백석은 다양한 장소의 풍물을 관찰하여 그것을 시의 재료로 삼았고, 어느 한 곳에 안주하지 않고 여러 곳을 편력하면서 관찰과 사색과 탐색을 거듭했다. 이러한 그의 시를 ‘편력과 탐색의 시’라고 일컬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mong reviews in the days when Baek Seok’s poetical works, The Deer was published, Park Yong-cheol’s writing is remarkable to appreciate deeply. He showed particular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Baek Seok’s poetic dictions had and accurately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use of dialects of Pyongan province as poetic languages better than anyone else. Also, he pointed out that the use of such poetic words is conscious resistance to “mixed-blood effect,” with which our language faced at that time, and the essential expression to protect the purity of language. Such appraisal draws much closer to the essence of Baek Seok’s poetry than mentions of Kim Ki-rim or Oh Jang-hwan, who focused on modernism. Afterward as we look at some fragmentary materials from 1940s or after the Liberation, it is clear that Baek Seok has been considered to be a major poet, but we cannot find specific critiques on it. Because he was engaged in liter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after the Korean War, he couldn’t be the subject for discussions in earnest in South Korea.
    At the turn of 1980s, studies on Baek Seok started in earnest, and his complete collections were published continuously. Lee Dong-soon’s collected works are significant in the aspect that it was the very first arrangement of his work; Song Joon’s works should be highly regarded as containing the sincerest poetic dictionary at that time by including the works created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and presenting the original work’s marks; the complete collection of Kim Jae-yong features convenience for common readers to read easily by containing all of poems Baek Seok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prose newly discovered as well as typesetting them in a modern language writing. After that, the one that showed a new system of complete work of Baek Seok’s poetry was Koh Hyung-jin’s The Standard Collection of Poems by Baek Seok. My annotative work, The Original Poetical Works by Baek Seok and a commentary for all his poems, Meet Baek Seok, were published at this period of time.
    Around 1990, there were many texts which considered Baek Seok’s poems as realistic ones representing reality of people. At the turn of 2000, critics focused on newness of Baek Seok’s poetry and works which illuminated it relating to modernism or aesthetic modernity unfolded. The truth of Baek Seok’s poetry would be placed in a border line between such dichotomous oppositions. It is fortunate that the recent view that attempts to overcome such dichotomy of conflictual viewpoints and understand the two perspectives in a comprehensive aspect was introduced. Besides, the studies on the way of narration in Baek Seok’s poems have also suggested new vision to project the nature of the poetry of Baek Seok. Along with that, studies conducted by Koh Hyung-jin, Lee Soong-won and Lee Dong-seok achieved a fruitful outcome, raising the interpretation of Baek Seok’s poetry to a higher level.
    There was once an argument that Baek Seok’s poetry had been influenced by Tanaka Fuyuji, a Japanese poet. Yoo Jong-ho compared and reviewed Tanaka Fuyuji’s poems from the former period and Baek Seok’s early poems, and the two had affinity; he said that this influence is not a flow but instead, it’s important that Baek Seok overcame this stage and demonstrated transformation and growth. It’s needed to have review and interpretation in more objective perspective regarding such influential relationship.
    As tasks for research on Baek Seok’s poetry, a review on Baek Seok’s expression techniques by combining descriptiveness and compressibility and a consideration on the binary mode of expression are suggested. Also, regarding terms such as travel, trip and wandering, often raised as features of Baek Seok’s poetry, it is pointed out that clear distinction of their meanings is needed. Baek Seok observed scenery and customs from various places and made them his poetic materials, and he repeated to observe, meditate and explore, roaming about many places without settling in one place. Such poems by him can be referred to as ‘poems of expedition and explo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