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삼 시의 숭고와 그 의미 (The Sublime in Kim Jong-sam’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3
27P 미리보기
김종삼 시의 숭고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33권 / 45 ~ 71페이지
    · 저자명 : 박민규

    초록

    지금까지 김종삼의 시세계는 ‘잔상의 미학’으로 통칭되는 순수미학주의의 산물로 이해되어 왔다. 그간의 연구사에서 주장하듯 그의 시들은 분명 작고 소박한 사물에 대한 고요한 관조를 통해 촉진되는 생의 감정을 표현한 순수미의 아름다움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그 같은 ‘미의 미학’만으로 김종삼의 시세계가 온전하게 해명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오히려 김종삼의 상당수 시들은 ‘미’보다도 ‘숭고’의 체험을 적극 발화하고 있다. 그의 시들은 드높은 곳에 존재하는 신성, 무한성, 영원성에 대한 동경과 더불어 그 높이의 세계로 진입하려는 영혼의 비상까지를 진술한 점에서 숭고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천상의 세계와 맞닿은 경계에서 천상의 풍경들을 지워내고 있는데, 이 또한 무한을 감각하되 그 감각의 경계 지점에서 무한의 형상적 윤곽을 짓고 허무는 움직임을 제시하는 숭고의 미학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김종삼의 시들은 매우 거대하거나 압도적인 현상 앞에 직면한 주체의 당혹감, 무력감, 불편감 등 ‘불쾌’의 감정을 많이 드러낸다. 단순히 불쾌의 제시로만 그친 시들도 있지만, 죽음의식을 전면화한 작품들에서 시인은 ‘불쾌의 쾌’라는 숭고 체험의 이중적 도식을 형상화한다. 죽음의 가공할 위력 앞에서도 사유하는 주체의 모습을 부각하면서 죽음의 공포를 쾌로 전환시키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의 시들에서 이 같은 숭고 체험은 ‘거대한 황야’로 표상되는 삶의 문제로까지 확장된다. 크나큰 삶의 고통 속에서도 시인은 고통의 불쾌적 감정에 머물지 않고 “황야를 다시 걷자”는 식의 고양된 의지를 발화한다. 삶의 거대한 지평을 껴안고 감으로써 궁극적으로 그의 시는 죽음마저도 삶의 한 일부로 수용하는 자세로 나아갈 수 있었다.

    영어초록

    Kim Jong-sam’s many poems deal with experiences of ‘the sublime’ rather than ‘the beautiful.’ His poems state not only the longing for the sacred existing in the high place but also the flight of the soul trying to enter the world at the height (Longinos). Also, his poems are characteristic in that they delete the landscapes of Heaven at the boundary with the heavenly world. This also can be seen as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in which one repeats the movement of building and deconstructing the contour of the limitless at the point of the boundary for sensing the limitless (Nancy). In particular, his poems address the feelings of ‘unpleasantness’ including embarrassment, helplessness, discomfort when he is faced with very enormous or overwhelming phenomena. The poet give a shape to the dual schemata of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the ‘pleasure of unpleasantness’ in his works that put up the awareness of death (Kant). The poet reveals his inner will to turn the fear of death into pleasure by bringing the thinking subject into relief even in front of the formidable power of death. This kind of experience of the sublime in his poems is extended up to the problem of life symbolized by the ‘enormous wilderness.’ The poet does not stay at the unpleasant feeling of pain, but does reveal his lofty will, saying “let’s walk through the wilderness again.” His poems ultimately progress toward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in which he even accepts death as part of life by embracing the enormity of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