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찬 시의 환상성 연구 (A Study on Fantasy in Lee Chan’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이찬 시의 환상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71호 / 709 ~ 733페이지
    · 저자명 : 허갑순

    초록

    본고는 이찬 시에 나타나는 환상적 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이국적 취향의 환상과 현실 일탈로서의 환상적 공간의 시에 주목하였다. 이 작품들은 모더니즘적 성격과 고향을 상실하고 떠도는 유랑의식을 비극적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그 이면에는 현실 비판적 자아의식이 결여된 ‘도피적 태도’라는 비판도 받았다. 본고는 이 작품들의 해석 및 분석을 통해 환상성에 내재된 현실과 환상간의 은밀한 교호작용을 밝혀보고자 한다.
    19세기에 환상은 리얼리즘 소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의도적으로 따돌림을 당하기도 하였으나 환상은 주요 서사의 흐름 속에 보편적인 자리를 차지했으며, 현대 문학 속에도 다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캐스린 흄에 따르면, 환상은 등치적 리얼리티로부터의 일탈로 이는 곧 문학 본래의 충동으로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환상은 괴물에서 은유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변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환상 문학은 1920년대 낭만주의 문학에서 엿볼 수 있으나 그보다도 일제 강점기나 1950년대와 1960년대의 환상적인 시들에서 그 맥락을 찾아야 할 것이다. 특히 일제 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격동적 시대적 상황은 억압되고 고통스러운 현실로부터의 일탈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환상을 어떤 특정한 시대나 작가에 국한하여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므로 해방 전후에 활동했던 여러 시인의 시편에서도 환상과의 조우를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 이찬의 시에서 환상성을 밝혀내려는 노력을 하게 된 것은 그의 시의 밑바닥에 흐르고 있는 도저한 유토피아에 대한 감상 때문이다. 이런 시인의 태도는 현실적 자아의식이 결여된 심미적인 세계로 도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중요한 것은 그의 시가 보여주는 환상의 양상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찬 시편이 환상문학의 압도적인 기이함 등을 표현하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때로 각박하고 비참한 현실의 배후에는 한 인간의 농밀한 아픔이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fantastic space shown in Lee Chan’s poetry and observed poems of exotic fantasy and the fantastic space as a departure from reality. These works were reviewed that tragically express modernistic nature and wandering consciousness of losing home and wandering about. But it was also criticized as ‘an escapist attitude’ that lacks for critical self-consciousness in the back.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secret interaction between reality immanent in fantasy and fantasy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his works.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fantasy was intentionally excluded from those supporting realist novels, it has occupied an universal position in the flow of a narrative and also taken the place in modern literature. Kathryn Hume claims that fantasy is any departure from consensus reality, an impulse native to literature. In this sense, fantasy can appear as a number of transformations from monster to metaphor.
    Although fantastic literature is revealed in Romantic literature in the 1920s in Korea, the context may be found in fantastic poem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 the 1950s and 1960s. In particular,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the Korean War, one would have no choice but to pursue a departure from repressed and painful reality. In this regard, it cannot be asserted that fantasy appears only in certain times or writers. In other words, fantasy is not a phenomenon limited to some times or writers and is often encountered in several poets’ poems about the time of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is study strived to reveal fantasy in Lee Chan’s poetry because of a good sentiment toward Utopia that underlies his poetry. Although his attitude has been criticized as an escape to the aesthetic world that lacks in realistic self-consciousness, the important is that it is the aspect of fantasy his poetry shows. Therefor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Lee Chan’s poetry expresses overwhelming weirdness, we can know that a deep and severe pain of a person harbors at the back of miserable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