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휴먼 시대 비인간 담론으로 다시 읽는 여성시―김승희·김혜순·최승자의 시를 중심으로 (Women's Poems Reread as Non-human Discourses in the Posthuman Era―focusing on poetry by Kim Seung-Hee, Kim Hye-Soon, and Choi Seung-Ja)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2
50P 미리보기
포스트휴먼 시대 비인간 담론으로 다시 읽는 여성시―김승희·김혜순·최승자의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77호 / 55 ~ 104페이지
    · 저자명 : 황선희

    초록

    포스트휴먼 개념이 이 시대를 이해하는 열쇠로서 중요하게 호명되는 가운데, 비인간 담론은 새롭게 (재)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현대시를 읽는 데 있어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던 비인간 담론을 바탕으로 삼아 여성시를 재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생기적 유물론을 주창한 제인 베넷의 비인간 사유, 전통 철학의 이분법적 구도에 반대하며 포스트휴먼과 성차(性差) 개념에 집중해 온 로지 브라이도티의 이론 등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현대 여성시를 새롭게 읽어 보고자 하였다. 검토 대상 텍스트로는 비인간-사물을 다루었거나 비인간 담론의 관점에서 재독 가능한 김승희, 김혜순, 최승자의 시를 선정하였다.
    사물들에게 생기적 물질성을 부여한 ‘배치’의 시편에서 김승희, 김혜순, 최승자는 끊임없는 전환의 과정에 놓여 있는 살아 있는 연합을 보여준다. 시적 주체 ‘나’를 인간에만 한정하지 않고 읽는다면 비인간 담론의 측면에서 새로운 독해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비인간의 신체들이 배열됨으로써 나타나는 ‘유목’의 시편에서 세 시인은 비동일성, 분열, 틈, 환유에 대한 확장된 상상을 보여준다. 어떠한 정체성도 완전하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포스트휴먼 담론의 관점은 유목적 사유를 보여주는 세 시인의 시에서 선취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인간-사물이나 그와 어우러지는 인간 존재의 역능을 보여주는 ‘생성’의 시편에서 세 시인은 ‘객체’ 개념을 대신할 수 있는 ‘기계’ 개념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인간중심주의의 수직적 사고 체계와 변별되는 것으로, 포스트휴먼의 비인간 담론에 내재한 수평적 환대의 감각을 일깨운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While the concept of posthuman is being called importantly as the key to understanding this era, non-human discourse is being newly discovered. In this paper, I tried to reread women's poetry based on non-human discourse that was not sufficiently dealt with in reading Korean modern poetry. In particular, I tried to read a new Korean modern women's poetry, focusing on Jane Bennett's non-human thinking, who advocated vital materialism, and Rosi Braidotti's theory, which has focused on the concept of posthuman and gender difference, opposing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traditional philosophy. As the text to be reviewed, poems by Kim Seung-hee, Kim Hye-soon, and Choi Seung-ja that dealt with non-human-thing or can be read again from the perspective of non-human discourse were selected.
    In the specimen of 'assemblage', which gives objects a vital materiality, Kim Seung-hee, Kim Hye-soon, and Choi Seung-ja show a living union that is in the process of constant transformation. If you read the poetic subject 'I' without limiting it to humans, you can discover a new possibility of reading in terms of non-human discourse. In the specimen of 'nomadic' that appears by arranging non-human bodies, the three poets show an expanded imagination of non-identity, division, gap, and metamorphosis. It is confirmed that the posthuman discourse's perspective that no identity is complete or fixed is taken first in the poems of the three poets who show nomadic thinking. In the specimen of 'creation', which shows the ability of non-human-thing or human beings to harmonize with it, the three poets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machine' that can replace the concept of 'object'. This is differentiated from the vertical thinking system of anthropocentrism, and it can be said that it awakens the sense of horizontal hospitality inherent in posthuman non-human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