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禪僧의 山居詩 비교 ―普雨와 憨山의 山居詩를 중심으로 (Sangeoshi of Seonseung between Korea and Chin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04
44P 미리보기
한·중 禪僧의 山居詩 비교 ―普雨와 憨山의 山居詩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1권 / 169 ~ 212페이지
    · 저자명 : 김상일

    초록

    이 논문은 전근대 한국과 중국의 禪僧들이 지은 山居詩의 유래와 양식성을 살펴 본 글이다. 산거시는 전근대 漢文문화권인 동아시아의 한 시양식이었다. 그것은 중국 唐代에 출현하였고 宋-元-明代에 이르기까지 계속 창작되었다. 한국에서도 고려후기이래로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산거시는 시대를 내려오면서 주로 禪僧들에 의해 창작된 禪詩의 하위 양식이 되었다. 특히 그것은 중국과 한국을 막론하고 주로 臨濟宗계의 선승들에 의해 창작되었다.
    산은 선승들에게 세속과는 격절된 공간이고 修禪의 공간이었다. 산거시는 선승들이 이러한 산중 생활의 질박하고 탈속적인 감정과 禪的 체험에서 느끼는 禪悅을 읊은 시이다. 대부분의 산거시는 시비를 가리고 명리를 추구하는 세속 생활의 번잡함과 구속성은 산중 생활의 한가함과 해방성만 못하다는 방식으로 시상을 대조시키고 있다. 때문에 질박한 생활과 열악한 자연 환경 속에서도 선승들의 無碍·自在한 삶이 드러나 보이게 한다.
    산거시의 이러한 양식성은 明의 憨山선사나 조선의 普雨선사의171산거시에서도 일반적인 원리로 작용한다. 다만 그들의 산거시는 주제나 제재면에서 서로 미묘한 차이를 드러낼 뿐인데 그것은 그들이 처했던 사회적 현실과 산중 생활 조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산거시의 범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불교가 전해졌던 일본이나 월남의 산거시문학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discuss the origin of Sangeoshi (山居詩)written by Seonseung (禪僧: a monk of Zen Buddhism) in the premodern era of Korea and China. It also talks about the form of Sangeoshi. Sangeoshi is one of the forms of poetry in the classical Chinese cultural area (漢文文化圈) during the premodern era.
    Sangeoshi has continued to appear in the whole history of Chinese since the Dang era (唐代). It was written by Korean from the latter part of Korea (高麗: It does not mean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朝鮮).
    It was the subordinate form of Seonshi (禪詩: the written by Seonseung). Especially, it was written by Seonseung of Limjaejong (臨濟宗: one of the factions of Seonjong 〈禪宗〉: Zen Buddhism).
    Sangeoshi is comprised of the story of Seonseung’s unworldly emotion and happiness in experience of Buddhist Zen. So, it tries to tell that fame and worth is more worthless than the sense of freedom and peace of mind in an unworldly lifestyle.
    This form generally appears in Gamsan (.랹)갽s poem in Myung (뼻) and Bow (븕덶)갽s in Chosun. However, their poems appear a little different in the aspects of topic and of material in their different social situations and life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