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조 영시(影詩) 분석 (Analysis of Sijo Youngs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8.01
24P 미리보기
시조 영시(影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28호 / 133 ~ 156페이지
    · 저자명 : 신웅순

    초록

    본 논문은 시조 영시(影詩)와 시조창과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시조 영시와 시조창을 공간, 시간으로 파악하여 이 두 이질 장르인 문학과 음악 간의 이미지 유사 정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본 논문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문학과 음악이라는 두 이질적인 장르의 속성 때문에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 분석된 것이라기보다는 시조 영시와 가락 진행의 이미지만을 연관지어 분석된 것으로 자의적일 수 밖에 없다.
    초·중·종장의 총 11개의 시조 영시에서 24개의 이미지를 추려내어 분석한 바 시조 영시와 시조창의 관계에서 21개의 이미지가 유사했다. 평시조에서 일관성 없이 장단 마다 분리하여 전혀 다른 표현으로 악상을 나타냈다는 점에서, 평시조에 여러 다른 가사들을 얹혀 불러야 함에도 같은 악상으로 나타내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렇다 해도 시조 영시가 시조창의 악상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본다면 이러한 유사성은 나름대로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시조 영시는 자연의 운행 질서나 현상을 시조의 각 장별로 그 창법의 특색을 영시화한 것이다. 시조창을 한다는 것은 자연의 질서에 순응한다는 말에 다름 아닐 것이다. 시조 연의(演義)에도 시조는 도, 덕, 인, 의, 예, 지, 신과 같은 덕목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시조창에는 자연의 질서뿐만이 아니라 인간이 지켜야할 도리들도 있어 선비들이 시조를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해 불러왔다는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조 영시와 시조창에는 자연의 질서, 인간이 지켜야할 도리, 선비 정신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다. 호사가들의 말장난이 아닌 시조 영시의 가치를 인식하고 시조창을 부를 수 있다면 현대인들에게도 심신 수련과 인격 수양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여기에 부응하고자 하는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joYongsi and Sijochang. The study was approach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similarities between literature and music, which seem to be heterogeneous genres.
    This sort of analysis,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the two genres, is not based on scientific ground. It is rather a literal analysis as it is studied relating the images of SijoYoungsi and processing melody.
    As a result of picking out 24 images from 11 Sijo Youngsis which consists of 3 verses (Cho, Joong, Jong), 21 images are simil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joYoungsi and Sihochang. This way has a limitation in the points of that it presents musical motifs with totally different expression separating each rhythm from PyongSijo inconsistently and presents the same motif although it has to be sung with the other different lyrics on PyongSijo. Nevertheless, regarding that SijoYoungsi is expressed in musical motifs of Sijochang, this similarities can be worth in its way.
    SijoYongsi is a kind of poem in which the order of the nature or phenomenon is expressed with vocalism of each verse’s characteristics. Singing Sijochang can be compared with adapting to the order of the nature. In Sijoyeonui-all principles on Sijochang-, Sijo has virtues such as Do(morality), Duk(goodness), In(benevolence), Ui(righteousness), Ye(propriety), Ji(wisdom), Shin(sincerity). Because there are reasons which human being should observe as well as the order of the nature in Sijochang, we can learn the reason why scholars sang Sijo in order to discipline his personality.
    In SijoYongsi and Sijochang, the order of the nature, virtues we should observe, spirits of scholars are dissolved in a natural way. If we can sing sijochang recognizing it not as a hustler’s wordplay, but as the value of Sijo Youngsi, it will help moderns to train their mind and body and foster their personality. This paper can be one of the reasons for answering this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