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지하 시에 나타난 ‘틈’사상의 시학적 원리와 시적 현현(顯現) (The poetic principle and incarnation of ‘Teum’thought in the poetry of Kim Ji-h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12
33P 미리보기
김지하 시에 나타난 ‘틈’사상의 시학적 원리와 시적 현현(顯現)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56호 / 229 ~ 261페이지
    · 저자명 : 김난희

    초록

    시에 있어서 형식이란 단순히 형식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곧바로 시정신과 직결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김지하가 생명 사상을 전개시키는 한 축으로 상정했던 ‘틈’ 사상과 이 ‘틈’ 사상의 시적 형식화를 통해 시 형식과 생명에 관한 사유의 교호작용이 시적 현현으로 여하히 드러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가 늘 주장했던 것처럼 시는 형식과 내용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 시기에 중점적으로 발표했던 여백 중심의 시편들은 그가 천착했던 생명 사상의 시적 외장(外裝)일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시편들에 대한 검토는 김지하가 늘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생명문학의 근본 원리가 무엇으로부터 비롯되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김지하 생명문학의 본질과 문법에 대한 검토가 될 것이다.
    틈과 관련한 그의 시론은 대체로 세 가지 차원에서 그의 생명 사상과 교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언어에 틈과 여백을 줌으로써 중심을 벗어난다는 것, 즉 ‘분산과 소방(疏放)’의 양식을 추구하는 것인데, 이는 서정시에서 언어를 절약하고 엉성하게 벌려놓음으로써 그 틈에 우주적 신기(神氣)가 통하고 여백을 울리도록 함으로써 언어의 꽉 찬 그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차원으로는 생명의 근원은 바로 모순과 역(易)인데, 이는 ‘활동하는 무(無)’로 인해 생명이 운동과 변화를 거듭한다는 것을 뜻한다. 김지하는 이같은 생명의 운동과정을 문학적 차원에서는 ‘활동하는 무(無)’가 텍스트에 개입함으로써 엇과 틈이 만들어지고, 행갈이는 이 엇과 틈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는 생명의 근원인 모순과 역의 상보 원리에 다름 아니라고 본다. 세 번째 차원은 김지하가 생명문학의 시학적 원리와 관련하여 주장한 ‘말의 자발적 가난(말의 비움)’에서 살펴볼 수 있다. ‘없음’에 기초하는 것이 생명의 본질이라면 생명 문학은 그 형식에 있어서도 이미지의 풍요와 언어의 사치를 경계하고 무(無), 공(空), 허(虛), 자유에 토대를 둔 ‘말의 자발적 가난’이라는 미학적 규범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상 세 가지 차원에서 ‘틈’을 통한 여백 중심의 시편이 김지하의 생명 사상과 어떠한 교호작용을 통해 시적 형식화를 이루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며, 이것이 어떻게 생명시의 문법을 이루고 있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t is a well-known fact that form in a poem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etic spirit, not stopping at being a form itself. This study focuses on the thoughtof ‘Teum (gap)’ that Kim Ji-ha postulated as an axis to develop his life thought , and it also examines how the interaction of poetic form and the thoughts on life is revealed as a poetic incarnation through poetic formalization of 'Teum' thought . If form and content do not exist separately in a poem as he has insisted, those poems centering on margin that were published around then would be the poetic paintwork for the life thoughthe always pursued. Therefore, the examination of his poems published then would become the examination on the essence and grammar of Kim Ji-ha’s life literature that was always targeted for criticism by Kim Ji-ha himself.
    His poetic theory related to 'Teum' can be said to be reciprocal with his life thought approximately in three dimensions: Firstly, by giving the language a gap and some margins, the poem escapes the center; in other words, his poetry pursues the style of 'dispersion and dissipation', which means that by economizing words and spreading them around, there comes in a cosmic spirituality that resonates in the margins, obtaining the possibility of making excursions from the fully interwoven net of language. Second dimension can be explained as follows: the origin of life is contradiction and converse, and that means life continuously repeats movements and changes with ‘acting nothingness’. Kim Ji-ha explains that such a moving process of life creates a style and a gap from the literature's point of view by the intervention of ‘acting nothingness’ in the text, and the poetic line changing is created by such style and gap, which is based on the same complementary principle as in contradiction and converse that lie in the origin of life. Third dimension can be found in the expression, ‘voluntary poverty in words (emptying of words)’ that Kim Ji-ha asserted in relation to the poetic principles of life literature. If the essence of life is based on ‘nothingness’,then life literature should display vigilance against the abundance of images and the extravagance of language in its form, and adopt the aesthetic rule of ‘voluntary poverty in words’ that is based on the nothingness, emptiness,futility and freedom.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oetry centering on margins and ‘Teum (gap)’ achieves poetic formalization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life ideology of Kim Ji-ha and how that becomes the grammar of life poetry from the three dimensions mentioned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