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탈’의 시학, 시의 주체에 따른 세월호 시의 정치성 (The Poetics of ‘Dispossession’, The Politics of Sewol Ferry Disaster Poetry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Poem)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6
46P 미리보기
‘박탈’의 시학, 시의 주체에 따른 세월호 시의 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83호 / 285 ~ 330페이지
    · 저자명 : 정영진

    초록

    이 글은 세월호 시(문학)에서의 타자성/윤리성의 강조가 정치성과 결합되어 사고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필자는 주디스 버틀러와 아테나 아타나시오우가 제시한 ‘박탈’ 개념을 참조하여 세월호 시를 ‘박탈’의 시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들은 일종의 예속의 한 양식으로 주체가 급진적으로 허물어지게 되는 전지구적 ‘박탈’의 현실에 대응할 수 있는 윤리적, 정치적 차원의 실천 가능성을 탐구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세월호 사건과 시적 주체의 거리에 따라 산출되는 시의 양상이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점에 주목하여, 희생자 어머니의 시집, 세월호 사건 이후 현장을 기록한 시인의 시집, 그리고 한국작가협회 소속 전문 시인 집단의 시집의 재현 양상을 비교 분석했다.
    희생자 어머니의 시집 『너에게 그리움을 보낸다』에는 인간성 외부의 자리에 있는 박탈 당한 자의 형상이 나타났다. 세월호 사건 이후 시인에게 시간은 천형으로 경험되었다. 시간성을 상실한 시간을 경험하게 된 시인은 자신을 죄인의 자리에 묶음으로써 불가능한 책임의 자리를 고수한다. 그는 죽음의 영역에 접속하며 시쓰기를 통해 딸을 기억하고자 했다.
    시집 『5.18 엄마가 4.16 아들에게』는 5.18 당시 자식을 찾아 헤맨 기억이 있는 여성 시인이 세월호 현장에서 자원봉사를 하며 경험한 내용을 담은 시를 묶은 것이다. 시인은 ‘기록자’로서 섬뜩하고 비극적인 ‘박탈의 현장성’을 담담하게 그렸다. 또한 세월호 사건 이후 중첩된 장소와 사람들의 만남을 기록하면서 고통의 실체를 유동적인 흐름 속에서 입체적으로 제시했다.
    합동시집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를 펴낸 한국작가협회 소속 시인들은 희생자들의 고통의 순간을 시로 형상화하여 ‘불가능한 앎’을 구성함으로써 ‘박탈’의 세계를 가시화했다. 시인들은 증언 주체로서 자신을 정체화하며, 분노의 목소리를 거침없이 쏟아냈다. 신자유주의 질서와 무능한 국가가 초래한 박탈의 현실을 대한민국의 역사 속에 기입함으로써 역사적 현실 인식을 강조하고 저항으로서의 시쓰기를 실천했다.
    이 글에서 살펴본 세월호 사건과의 거리에 따른 주체의 시적 재현에는 각각 고유한 특질이 있다. 박탈의 시학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재현 간의 차이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특정한 재현 양상은 다른 층위의 재현 불가능한 부분을 비춰주는 것이기도 하다. 필연적 재현 불가능성 때문에, 재현 행위는 계속 시도될 수 있으며 시적 재현이 함축한 정치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정체성과 그 목소리들의 간극을 포괄하는 이접적 시야가 ‘박탈의 시학’을 구성하는 데 중요하다. 개인의 기억과 저항의 언어를 파편화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시의 거대한 부정정신의 정치적, 역사적 실천으로 바라볼 때, ‘세월호 시’의 능력이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emphasis on otherness/ethics in Sewol Ferry disaster poetry(literature) should be thought of in conjunction with political nature of the accident. I examine Sewol Ferry disaster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a poetics of ‘Dispossession’ by referring to the concept of ‘dispossession’ presented by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 They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practices in the ethical and political domains that can respond to the reality of global dispossession, in which subject is radically collapsed as a form of subordination. In this article, I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presentation aspects of the collection of poems by the mother of the victims, by the poet who documented the scen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fter the event and a group of professional poets belonging to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aspects of the poems written display significantly definit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the poetic subject from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collection of poems by the victim’s mother, ‘My longings for you’, presents the figure of a disenfranchised person in a position outside of humanity. Following the occurrenc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time was experienced as a retribution by the poet. The poet, who experienced time as a loss of temporality, adheres to an impossible position of responsibility by binding herself to the position of a sinner. She, by accessing the realm of death, tried to remember her daughter through composition of poetry.
    The collection of poems, ‘From 5.18 mother to 4.6 son’, is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a female poet who has the memory of having searched her child at the time of the 5.18 Democratic Movement containing the contents of her experiences while participating in volunteer services at the sit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s a ‘recorder’, the poet composedly depicted the eerie and tragic ‘immediacy of dispossession’. In addition, by recording the encounters with places and people that overlapped after the occurrence of Sewol Ferry disaster, the poet 3-dimensionally presented the reality of suffering in the midst of fluid flow of such experiences of suffering.
    In the joint collection of poems, ‘We were all Sewol Ferry’, published by the poets affiliated with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the poets visually materialized the world of ‘dispossession’ by composing the ‘impossible knowledge’ through embodiment of the moments of the victim’ suffering into poems. The poets identified themselves as testifying subjects and unabashedly poured out their voices of outrage. By writing the reality of dispossession caused by the neoliberal order and the incompetent government in the history of Korea, they emphasized awareness of historical reality and practiced composition of poem as an expression of resistance.
    Each of the poetic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distances from the Sewol Ferry accident examined in this article has their uniqu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What is important in the poetics of dispossession i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representation themselves. Specific aspect of representation also illuminates the unreproducible aspects of other layers. Due to this inevitable unreproducibility, the act of representation can continue to be attempted, and the political nature that has been implied by the poetic representation can be accessed through diversified formats. Therefore, a disjunctive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interstices of diversified identities and their respective voices is crucial in constituting a ‘poetics of dispossession’. The power of ‘Sewol Ferry accident poetry’ will become apparent when we do not recognize the memories of individuals and languages of resistance as being fragmented, but, rather, view them as a political and historical practice by the enormous spirit of denial of the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