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목월 중기 시의 발화주체 연구-제3시집 『난⋅기타』(1959), 제4시집 『청담』(1964)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eaking Subject of Park Mokwol’s Mid-term Poet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9
27P 미리보기
박목월 중기 시의 발화주체 연구-제3시집 『난⋅기타』(1959), 제4시집 『청담』(1964)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90호 / 475 ~ 501페이지
    · 저자명 : 김민주

    초록

    이 글은 목월의 기나긴 시작생활과 많은 시들을 다루는 데에 있어 어조와 발화주체의 역할을 짚으려는 시도이다. 화자와 구분하여 권혁웅이 제시한 ‘주체’는 어조가 자아의 주관적 심리가 아니라 타자와의 객관적 관계를 표하는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목월의 중기 시가 타자의 발견을 통해 시세계의 변이를 거친다는 논의를 진행할 수 있다. 2장에서는 목월시의 ‘자연’이 초기 시와 중기 시에서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체가 보고 있는 자연이 주체에게 매달리는 자연의 관계로 역전되면서, 이 관계망 속에서 주체는 자신의 자리를 명확히 하기 시작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3장에서는 타자들과의 관계 맺기를 통해 구체화되는 주체의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지된 바 목월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가족’의 이미지와, 중기 시편들의 인칭대명사를 크게 두 부류의 타자로 나누어, 이들을 시에 등장시킴으로써 주체가 자기를 구체화한다고 보았다. 또한 생활과 일상은 단순한 소재가 아니라 주체가 관계맺고 거기에 반응하는 어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타자와의 관계를 의식하고 발전해나가는 선상에서 이해된다. 4장에서는 목월의 중기 시가 새로이 발견된 타자들을 거쳐 주체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확실히 하는 데로 재귀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후 『경상도의 가랑잎』에 자주 등장하게 될 사투리시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목월의 사투리 시에서 목월의 주체는 보편윤리로서의 방언을 소환하고 그것을 부릴 줄 아는 자로 등장한다. 이 시들은 경상도 방언을 주 소재로 사용하여 시를 진행하면서도 경상도의 습속이나 향토적인 정서와는 큰 관련이 없이 인류 보편의 윤리와 습속을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으로 도모하는 함의를 지니게 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point out the tone and the role of the speaker in managing the long beginning of the month and many poems. Kwon Hyuk-woong’s “subject,” which is separate from the speaker, suggests that tone is an indicator of one’s objec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not one’s subjective psychology of the self.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mid-term poem undergoes changes in the urban world through the discovery of others. Chapter 2 of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atural” subject of Mokwol’s poems is different from those of early and mid-term poems. As the nature that the subject is looking at has been reversed by nature’s relationship that hangs on the subject, the subject in this network has begun to clarify his position. Chapter 3 examines the shape of the subject that is materializ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image of “family,” which frequently appears in the poems of the noted Ba Mokwol, and the person-to- person pronouns of mid-term psalms were divided into two main types of speakers, and the subject embodied himself by appearing them in the poem. In addition, life and daily life are not just materials but rather form a tone in which the subject relates and responds to it; this is understood as a line of 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Chapter 4, we look at Mokwol’s mid-term poems, returning to the reconstruction and guarantee of the meaning of the subject through newly discovered hitters. Since then, dialect poems have been analyzed as often appearing in subsequent poems. In Mokwol’s dialect poem, the subject appears as a person who can summon and practice dialects as universal ethics. These poems use the Gyeongsang-do dialect as the main subject, but they have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the universal ethics and customs of mankind and are not substantially related to the customs or local sentiments of Gyeongsang-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