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魏源의 실사구시 학문관 연구 - 『默觚』의 「學篇」을 중심으로 - (Weiyuan's View of Learning in terms of " Shilsagushi(實事求是)“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ogu』's Learning Chapter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6
23P 미리보기
魏源의 실사구시 학문관 연구 - 『默觚』의 「學篇」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0호 / 147 ~ 169페이지
    · 저자명 : 노병렬, 천병돈

    초록

    魏源의 사상은 개량파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자본주의 사상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방향을 개척했다. 그는 관념적인 송대 성리학(특히 주자학)이 서구 열강의 침략과 부패한 청말의 봉건사회를 개혁할 수 없다고 단정했다.
    위원은 성리학의 대안으로 劉逢祿으로부터 춘추공양학의 변역 사상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다. 이러한 사회개혁 사상은 그의 대표적 저서 『默觚』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묵고』는 「學篇」과 「治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묵고』가 魏源의 대표적 저서임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묵고』의 내용에 대해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 논문은 『묵고』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학편」은 ‘배움’을 논한 것으로 ‘앎(知)’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치편」은 ‘앎’을 정치 사회 제도에 적용하는 것으로 ‘실행(行)’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학편」의 주요 내용은 실사구시의 학문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편」은 ‘배움(學)’에 대한 해석으로 시작한다. ‘배움’은 ‘깨닫다(覺)’․‘본받다(效)’는 의미다. 배움의 주체는 ‘마음(心)’이다. 심은 육체와 정신을 주재한다. 심은 외부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선천적이다. ‘學’은 오관이 사물을 인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오관을 주재하는 것이 心이므로 ‘학’의 주체는 心이 된다. 인간은 심을 통해 오관이 인식한 것이 무엇인지 알게(知)된다. 앎은 앎에 그쳐서는 안 된다. 반드시 실행을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
    앎의 내용은 만물은 변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變易論이다. 만물은 ‘짝(對)’을 이룬다. ‘짝’은 相反이지만 轉化하면서 相成한다. 상반․전화․상성은 ‘정지된 상태(靜)’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상반․전화․상성은 ‘움직임(動)’을 전제로 한다.
    ‘상반․전화․상성’이란 ‘만물은 변한다(變易)’는 의미다. 인간은 만물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만약 피동적으로 변화에 따르기만 하면 개혁이 일어날 수 없다. 개혁은 능동적 어긋남(天道의 현실 사회 적용)에 있다. 이런 관점에서 위원은 실사구시를 추구하는 ‘앎(知)’을 매우 중시했다. 그러나 이 앎은 반드시 현실 생활 속에서 검증되어야 한다. 이처럼 ‘앎’과 ‘실행’ 양쪽 모두를 중시하기 때문에 어떤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다.

    영어초록

    Weiyuan's philosophy has influenced on the reformists, and to explore new path for capitalism. He thought that the neo-confucianism of Song dynasty could not reform the last stage of Qing Dynasty, which was corrupted and suffered with the invasion of western countries.
    Weiyuan suggested the 'change thought(變易思想)' of Chunchugongyangxue(春秋公羊學) as an alternative of neo-confucianism, and to reform his society with this concept. This thought was revealed on 'Mogu,' which is one of his famous books. 'Mogu' consists of 'Learning Chapter' and 'Governance Chapter.' Even though the academic does not pay attention to 'Mogu,' this paper focuses on it as a research subject. While 'Learning Chapter,' which explains ‘Learning,’ is relevant to ‘Knowledge,’ 'Governance Chapter' is related with ‘practice,' which apply ‘Knowledge’ to the political institution.
    'Learning Chapter''s main contents are the study of 'Shilsagushi,' its are as follows.
    "The 'Learning(學)' of 'Learning Chapter''means ‘realize(覺)’ and emulate(效).’ The main body of Learning' is ‘Mind(心).’ Mind presides body and spirit. Mind is made of an innate not from the outside. ‘Learning’ is completed when the five sensory organs sees subjects. The main body of 'Learning' is Mind because it controls the five sensory organs. Mankind see subjects through Mind. Knowledge should be verified by practice not only just know." Knowledge knows that everything can be changed. All things fulfills with 'pair,' which is defined to 'both opposite and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definition prerequisites ‘Movement(動).’ All things is changed because of this point. Mankind should use the change of things more actively. No reform happens passively. In this respect, Weiyuan emphasizes ‘Knowledge(知),’ which asks for Shilsagushi. However, this Knowledge should be verified in real life. Therefore, ‘Knowledge’ and ‘Practice’ are important because these can be adjusted in any change. Weiyuan's thought has been much influenced on the modern Chinese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