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綽의 詩次故 연구 (A study on ShinJak’s Shichago(詩次故))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06
32P 미리보기
申綽의 詩次故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0권 / 1호 / 181 ~ 212페이지
    · 저자명 : 선미현

    초록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 조선시대의 재야 학자인 石泉 申綽이 저술한 『詩次故』를 고찰한 것이다. 앞의 시기와는 달리 변화가 가능한 조선후기에서, 신작은 가학에 기반을 두고 정제두와 정조의 우문정책 그리고 청대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경학을 연구한 학자이다. 그는 唐代 이전의 고주를 연구하여 『시차고』라는 저술을 낳은 조선 후기 시경학의 대가라고 할 수 있다.
    『시차고』에서 ‘차고’의 의미는 ‘편차하여 훈고하다’ 또는 ‘훈고를 편차하다’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전제 아래 “古로서 古를 바로 잡는다”는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고대에 가까운 자료를 선택하기 위하여 『시경』 본문 전체를 周 ‧ 秦에서 당에 이르는 諸家의 주석만을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또 훈고에 통달하면 해의는 알 수 있게 된다고 보아, 이 방식을 통해 시의 대의를 추적하도록 의도하였다. 그래서 그가 “오랜 것일수록 더욱 귀하고 더욱 증명할 만한 것임을 알 뿐이다”라는 입장에서 보다 철저히 古注에 의한 풀이를 지향한 점을 본고에서 검토하였다.
    『詩次故』의 체제상의 특징, 異字고찰, 逸詩채록을 다루고, 해석상의 전제조건으로 賦比興을 구분하지 않고, 篇名을 篇首에 제시, 毛傳의 次序를 수용한 실상을 살펴보았고, 三家詩 제시, 시어 고증을 제시한 신작의 시경해석방법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그러나 『詩次故』는 위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音注를 제시하지 않아 독해에 결함이 있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또한 당대까지의 전적만을 고집하여 시의 원형을 복구하고자 한 것은 큰 의미가 있지만 당대이후의 수많은 전적을 누락시킴으로써 『시경』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지 못한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30년을 통해서 이루어진 『詩次故』는 조선조 학술이 획일적인 것이 아니며 시경학상 다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목을 받을만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on "Shichago(詩次故)" written by SeokCheon ShinJak (石泉 申綽), a 18th century undesignated scholar in latter phase of Chosŏn Dynasty. During this time of Chosŏn Dynastic, change in interpretation of KyungHak (Confucian classics) was possible unlike preceding times. ShinJak was a scholar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hose study was based on home schooling while being influenced by Jeong Jae-du, Jeongjo's Umun Policy, and Chung dynasty's bibliographcial study of Chinese classics. It can be said that he is the forefront of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who authored "Shichago(詩次故)" by researching ancient annotations before Tang Dynastic.
    In the title "Shicago", "cago" can be summarized to mean "to edit according to order and write scholia" or "to edit scholia according to order." With this basic premise, he adopted research methodology of "redressing classics using the classics." In order to select the data from similar era to the original, he only used annotations from timespan of Zhou(周) and Jin(秦) to Dang(唐) dynasty to interpret the entire ShiJing. Believing that if a person fully comprehends scholia, then he/she can find the underlying meaning of literature, he intended the readers to trace the cause of the poetry. ShinJak also stood behind the notion that "works that are older deem themselves more valuable and more worthy of being demonstrated." Therefore, parts of this paper will be examining the way he painstakingly uses only ancient annotation for interpretation.
    This paper examines features of "Shicago" such as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 consideration of character modification, and its inclusion of deleted poem, its way of not distinguishing Fu, Bi, Xing for interpretation, its way of locating the titles at the beginning of poem, and its accepting the order of MoJeon(毛傳). Interpretation methodolgy of ShiJing of ShinJak who uses Sanjia shi(三家詩), and historical research on poetic words were also examined.
    Despite the various merits of "Shicago" mentioned above, difficulty in comprehension due to lack of phonetic symbol is one of its shortcomings. Although only using annotation up until Tang Dynastic has great meaning, it is a known fact that it fails to examine ShiJing synthetically due to exclusion of countless annotations after era of Tang Dynasty. Despite these shortcomings, "Shicago", a work that lasted almost thirty year for completion, is worth noting as it represents diversity of both Chosŏn Dynasty's scholarship and Hermeneutics of ShiJ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