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석의詩釋義』와 퇴계 『시詩』해석의 특징 (Toegye(退溪)’s Shi-Seokeui(詩釋義) and its Exegetical Method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12
43P 미리보기
『시석의詩釋義』와 퇴계 『시詩』해석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5호 / 55 ~ 97페이지
    · 저자명 : 심경호

    초록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삼경사서석의三經四書釋義』에서 기왕의 ‘석釋’들을 대조하여 음주音註나 훈석訓釋에서 정설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경서석의』에서 퇴계는 대전본大全本 사서삼경四書三經의 경문과 신주新註 및 소주小註를 대상으로 하여 토석吐釋과 음주의 문제, 나아가 경학 상의 쟁점을 검토하되, 기왕의 석의들을 대조하면서 그 정부正否를 논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본고는 퇴계의 『경서석의』 가운데『경서석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언석諺釋의 방식과 퇴계 시경론의 특징을 『시석의』의 한문 문언어법 고찰, 음주와 운서韻書 활용 방식, 의리지설義理之說 등의 측면에서 개괄하였다.
    조선에서는 세종 때 『시전대전』을 다른 대전본 경서와 함께 공식 텍스트로 채택한 이후로, 주희의 신주新註 및 대전본 소주를 정확히 이해하는 일이 시경학의 중심과제로 되었다. 조선의 시경학은 ‘의리지학義理之學’의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시편詩篇의 원문과 음音에 관한 연구에서부터 부비흥론賦比興論, 문맥적 해석, 해석학의 방법을 나름대로 발전시켜 왔다. 필롤로지(philology)로서의 소학小學 방법론을 시편 해석에 활용하면서, 동시에 경문經文의 ‘미의微義’를 탐구하고 이를 현실 문제에 유비적으로 연계시키는 ‘의리지학’을 방기하지 않은 퇴계 『시석의詩釋義』의 경서해석은 현대의 『시경』 독해에도 중요한 지침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oegye Lee Hwang(退溪 李滉) attempted to present proper Korean pronunciation and annotation for Shijing(詩經) in his Shi-Seokeui (詩釋義). While examining Korean pronunciation and annotation, and futhermore considering the general issues of the study of Shijing with the text of Dajuan(大全) and its annotations, he compared the existing exegesises and distinguished between right and wrong. This article is an overview of his theory for the study of Shijing and its methodological features.
    After the text of Dajuan(大全) concluding Shizhuan-Daquan (詩傳大全) was adopted as the official tex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literati in Joseon dynasty endeavored to comprehend annotations by Zhuxi(朱熹) and notes others included in the text of Dajuan. Meanwhile, they also carried out in depth research on original text, pronunciation, theory of Liuyu(六義), interpretation from the context etc. while maintaining the viewpoint of ‘Principle theory(義理之學)’. It can be said that Toegye’s way of interpretation in his Shi-Seokeui which on the one hand adopted the philological methodology, and on the other hand adhered to ‘Principle theory’, should be a useful guideline for comprehension of Shijing until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