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 항목의 구성과 특징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ation of Local Product in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新增東國輿地勝覽』) - A Comparison w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3
32P 미리보기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 항목의 구성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5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소순규

    초록

    16세기 조선에서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은 15세기 편찬된 ≪세종실록≫ 지리지와 더불어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전국지리지이다. 두 자료는 약 100년의 시간차이를 두고 편찬되었는데, 편찬의 목적과 항목의 구성방식이 매우 상이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차이점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물산 항목이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도 단위와 군현단위로 각각 4~5개의 물산 항목을 설정하고 있었으며, 이들 물산 항목은 대부분 국가의 수취제도를 반영하여 지역의 수취 물종들을 기록한 것이었다. 반면 ≪신증동국여지승람≫ 에서는 지역의 물산을 ‘토산’ 이란 단일항목으로 정리하였는데, 서문과 범례 등에서 토산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물종들을 기록한 것인지 밝히지 않고 있다.
    본고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항목이 어떠한 물종들을 기록한 것이며 또 얼마나 정확하게 당시의 사정을 전하는 자료인가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방법으로 ≪세종실록≫ 지리지의 물산 항목들과의 비교 검토 방법을 사용하였고, 아울러 ≪동국여지지≫, ≪여지도서≫와 같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후에 편찬된 전국지리지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병행하였다. 16~17세기 편찬된 사찬 읍지들도 비교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검토 결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항목에는 각 지역의 생산물들 중에서 곡식류와 같이 비교적 많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물종들을 제외하고 지역의 특징적인 물종들만을 기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의 공물과는 상관없이 실제 지역의 산물을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가급적 생산되는 물산들을 가공 형태가 아닌 원료 상태로 기재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토산 항목 물산들은 편찬 시점이 100~200년 차이 나는 지리지들과의 비교 검토해 본 결과 상당한 중복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를 통해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항목이 16세기 지역산물을 상당히 정확하게 기재하고 있었다는 점도 추론 가능하였다. 그리고 앞선 시기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수취제도를 그대로 반영한 것과 달리 ≪신증동국여지승람≫이 지역 산물을 기재하는 것으로 변화한 원인은 지리지의 편찬 목적의 상이하다는 점과 16세기 공물 수취의 관행이 변화하였단 점을 꼽을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published in the sixteenth century, is considered one of the two most important geographical tex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longside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Sejong sillok jiriji), written a century earlier.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subject, the two texts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purpose and organization. The primary difference is in the way they document local products. For instance,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covers four or five local product categories for each do (道) and for the smaller administrative districts known as gun (郡) and hyeon (縣). The section on local products was essentially a categorized record of items collected from each region as a form of tax. However, the comparable section in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discusses items under the comprehensive category of tosan (土産) or ‘local goods.’ In addition, the preface and usage guide that precede the main text do not mention which specific local goods are included.
    This paper examines the items listed in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and seeks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documentation. To this end, information about the local products in this text were compared to those in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as well as later geographical literature covering the whole of Korea, such as the Geography of Korea (Dongguk yeojiji) and Cultural Geography of Korea (Yeoji doseo). Other local publications (eupji, 邑誌) from the sixteenth to seventeenth centuries with a limited geographical scope were also compared to gain a wider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focused only on products associated with specific regions, while excluding commodities that were more widely grown, such as grains. In addition, it recorded only goods that were actually produced in each region rather than all of the goods a local community was required to deliver as tribute to the royal court and the central government. Notably,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nly documents raw commodities and not their derivatives in the form of intermediate or finished goods. The items mentioned in this text overlap significantly with those in other geographical texts published one or two centuries later. This indicates that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was precise in its account of what was being produced in the various region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sixteenth century. This differs from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which good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tribute tax; this document was written for a distinct purpose, and the practice of tribute collection had evolved over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