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암(土庵) 이승여(李承如) 도덕개화(道德開化) 사상의 철학적 연구(Ⅰ) -생애와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Toam’s Thought of Moral Enlightenmen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10
32P 미리보기
토암(土庵) 이승여(李承如) 도덕개화(道德開化) 사상의 철학적 연구(Ⅰ) -생애와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종교연구 / 23권 / 23호 / 193 ~ 224페이지
    · 저자명 : 양정숙

    초록

    본고는 1874∼1934년까지의 토암의 생애를 고찰함으로써 광화중생(廣化衆生)으로 도성덕립(道成德立)을 이루어 인류가 도덕문명을 꽃피우는 화평한 세상을 구현하고자 했던 토암의 구도자적 삶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토암의 창도는 한국 근대사회의 출발점에서 나타나는 사회의 모순과 폐단을 미래지향점 관점으로 보편화하여 인류의 가치관으로 정립하는 과정을 반영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토암의 생평(生平)은 기성종교의 부정이 아닌 비판적 계승을 통해, 인간 개개인의 도덕적 자각과 수양을 촉구하는 ‘도덕개화사상’을 이 땅에 구현하려는 노력을 결실로 맺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본고에서 주력하고자 한 것은 토암 사상의 특성이 되는 유ㆍ불ㆍ선을 수용하는 포용성과 민족의 주체성을 각성하고자 했던 측면들은 토암이 재세찰(再世察)로 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토암의 득도과정과 현실인식이 내적 관련을 갖고 있으며, 또 그의 지공무사(至公無私)한 삶이 금강대도 사상의 특성과 지향점으로 내재화 되었으며, 그것은 토암의 구도적 삶의 실천으로부터 결코 유리되지 않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19세기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출발한 신종교들이 이상세계로서 지향하는 개벽開闢) 사상과 금강대도의개화(開化) 사상과는 지향하는 바가 현저히 다름을 살펴 볼 수 있다. 토암은 도덕성 타락으로 인한 사회의 무질서와 혼란 속에서 도덕 (道德)으로 세상을 개화(開化)하여 현실세계와 유리된 신비의 개벽시대가 아닌 현실 생활에서 인간이 주체가 되어 실천하고 수행함으로 해서 누릴 수 있는 삶을 영위할 것을 강조한다. 금강대도에서는 개벽을 지양하지 않고 현실세계 내에서의 도덕교화를 통한 이상사회의 건설인 ‘도성덕립(道成德立)’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타의 신종교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금강대도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세상의 도래에 대한 염원이 강하므로, 토암의 ‘도덕개화(道德開化)’사상은 인간에 대한 주체적 인식과 실천의 바탕위에서 발현된다고 볼 수 있으며, 나아가 인간존재와 구원의 문제는 토암의 가장 기본적인 철학적 사유의 한 측면 이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Kumkangdaedo is a religion advanced by Toam(土庵), Lee Seung-yeo in 187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oam(土庵)’s life as a seeker after truth that he strived to make a peaceful world with morality in Toam(土庵)’s whole life, between 1874 and 1934.
    The background of advancing Kumkangdaedo was the particular circumstan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the vocation and calling of those times to find relief in religion for the public in their struggles against colonial exploitation policy and oppression.
    Particularly, this paper is closely connected with Toam(土庵)’s receptiveness of embrac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am(土庵)’s religious spirituality and truth are based on his own religious experience, and suggest inspiration of the times and vision of building future ideal communities as well.
    Kumkangdaedo has strong desire of introducing a new world based on understanding human being realistically. Therefore, Toam(土庵)’s ideology of moral enlightenment is considered as outpouring in the foundation of independent perception and practice about human being.
    Finally, it is identified that the issue of redemption is the aspect of the most basic philosophy of Toam(土庵).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