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만경』 일승장에 대한 원효의 해설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Wonhyo(元曉)’s Commentary on the Śrīm ālā-Sūtra (『勝鬘経』) - Focusing on Chapter of One Vehicle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12
30P 미리보기
『승만경』 일승장에 대한 원효의 해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0호 / 29 ~ 58페이지
    · 저자명 : 김홍미

    초록

    본고는 ‘일승장’을 중심으로 『승만경소』에 대한 원효 해설의 특징을 그 형식적인 면과 내용적 면으로 나누어 검토한 것이다. 저본으로 삼은 자료는 응연의 『상현기』 인용문을 발췌 편집한 것으로서 1993년 김상현의 집일본과2013년 후쿠시 지닌의 편집본이다. 논의에 앞서 두 편집본을 3가지 측면, 즉내용 자체가 빠진 것, 내용의 첨가나 삭제, 단락 체제가 달라진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했다.
    형식적인 면에서 원효 해설은 대체로 동아시아 주석 전통의 충실한 형태를띠고 있다. 자구 해설의 경우, 한 글자나 한 어구의 뜻을 풀이한 다음, 그 단어가 포함된 구절이나 문장으로 확장하고, 그 확장된 의미를 전후 문맥에 따라경문의 본래 취지에 걸맞게 사상적으로 통합하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효는 경문에 대한 자신의 주석이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그와 관련된 정통한 해설이나 다양한 경론을 논거로 삼아 해당 부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화체로 이루어진 느슨한 서술 구조를 쉽게 풀어 주고, 반복된 구문을 재배치하며, 단순 나열된 유사 어구를 재분류하는 등 다양한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경문의 핵심주제인 ‘섭수정법’에 대한 원효의 해설을 살펴본 다음, 많은 해설 중에 2가지내용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하나는 소승의 삼장인 6처가 어떻게 대승에머물면서 정법을 섭수하는 실례이고, 동시에 이승에 머물면서 이승의 일체 선법을 섭수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해설이고, 다른 하나는 ‘열반을 얻는다는 것은붓다의 방편이다’는 경문에 대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nhyo(元曉)’s commentary on the Śrīmālā-Sūtra. Among 15 chapters, the format and contents were reviewed based on the 5th One Vehicle(一乘). The basic materials for this study are extracts of quotations from the Gyōnen(凝然)’s Shōmangyō-sho-Syōgenki(『勝鬘経疏詳玄記』), which was edited by KIM, Sang-hyun(김상현) in 1993 and Fukushi J.(福士慈稔) in 2013, are the critical editions. Prior to the discussion, I compared the two editions with the three aspects, namely the content itself is omitted, adding or deleting of contents, and changing the paragraph system.
    From a formal point of view, Wonhyo’s commentary largely follows the tradition of East Asia’s commentators. In the case of interpretation of words, Because he explains the dictionary meaning of a word, and then it is connected with the phrase that contains the word and interprets the enlarged meaning in a spiritual 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ext. In the aspect of contents, I first analyzed Wonhyo’s commentary on the embrace of the illustrious doctrine, and then focused on the following two points. One is that the six basic topics are reconstituted by the Mahāyāna. and the other annotates what is called ‘Nirvāṇa’ is a means belonging to the Tathāgat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