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동 영국사 목조보살좌상과 조각승 여찬 (Youngdong Youngguksa Wood seated Bodhisattva and Monk Sculptor Yeoch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10
33P 미리보기
영동 영국사 목조보살좌상과 조각승 여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72호 / 407 ~ 439페이지
    · 저자명 : 최선일

    초록

    본 논문은 충북 영동 영국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보살좌상을 제작한 여찬 스님에 관한 연구이다. 영국사 대웅전 내에는 원래 목조삼존불좌상이 만들어졌지만, 현재 협시보살 1구와 대좌 3구만 남아있다. 목조보살좌상은 2011년 8월에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은행에서 수종(樹種)과 연륜분석 조사를 계기로, 본존 연화대좌 바닥에 적혀있던 묵서를 조사하였다. 조성묵서에 의하면 목조삼존불좌상은 1711년에 홍신이 증명을 맡고, 여찬과 벽한 등이 제작하였다.
    목조보살좌상은 높이 83센티미터의 중형보살상으로, 화염문(火焰文)과 화문(花文)으로 장식된 높고 커다란 보관을 착용하고 있다. 보살상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신체(身體)와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보살상은 타원형의 얼굴에 반쯤 뜬 눈은 눈꼬리가 위로 약간 올라갔고, 코는 콧등이 평평한 삼각형을 이루며, 입은 살짝 미소를 머금고 있다. 착의법은 바깥에 걸친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 반원형으로 걸친 후,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내려와 복부에서 오른쪽 어깨를 덮은 편삼과 겹쳐져 있다. 특히, 왼쪽 어깨에서 수직으로 늘어진 대의 자락 상단에 사선으로 대의자락이 접힌 표현은 17세기 후반에 조각승 혜희의 계보를 이은 마일(摩一)이나 금문(金文) 등이 제작한 불상에서 볼 수 있는 요소이다. 하반신의 대의처리는 네 겹으로 접힌 주름이 밑쪽으로 완만하게 접혀 물결이 일렁이듯 펼쳐져 있다. 이와 같은 보살상의 대의 처리는 17세기 후반에 충북과 경북 북부에서 주로 활동한 금문의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제작한 불상에서 볼 수 있다. 보살상 뒷면의 처리는 목 주위에 대의(大衣)를 두르고, 대의 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이 목조보살좌상을 제작한 수화승 여찬은 1706년에 수화승 금문과 경기 안성 칠장사 지장전 목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을 제작할 때 보조화승으로 참여하고, 1708년에 경북 포항 보경사 괘불도 중수에 시주자로 참여한 후, 수화승 인문과 충남 청양 장곡사 아미타후불도(동국대 박물관 소장) 등 조성에 조상화원(造像畵員)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수화승으로 1711년에 충북 영동 영국사 목조보살좌상을 조성하고, 1713년 충북 괴산 소마사 불상을 중수․개금하였으며, 1720년에 강원 속초 신흥사 목조삼존불좌상을 중수하였다. 이후 여찬은 1722년에 개인소장 목패와 1726년에 강원 삼척 삼화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하고, 1729년에 강원 고성 유점사 대종 개주(改鑄)에 화원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그는 1741년에 경북 성주 선석사 시왕상을 조성하고, 1744년에 경남 옥천사 시왕도 중 오도전륜대왕 조성에 시주자로 참여하였으며, 1746년에 서울 봉은사 목조사천왕상을 제작하였다. 그는 서울 봉은사 사천왕상을 제작할 때, 가선(嘉善)으로 언급되어 이전에 공명첩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밝혀진 여찬의 활동 시기는 1706년부터 1746년까지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여찬은 1670년대 태어나서 1690년대 금문 밑에서 보조화승(補助畵僧)으로 활동하다가 1700년대 후반부터 1740년대까지 수화승으로 불상과 목패를 제작하였다. 그는 30대 중반 포항 보경사에 머물렀고, 1713년에 충북 괴산 소마사 불상 중수․개금에 조각승과 시주자로 참여한 것을 보면 괴산이 고향이나 출가한 지역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찬은 태전(-1600~1615-) → 법령(-1615~1641-) → 혜희(-1640~1677-) → 금문(-1655~1706-) → 여찬(-1706~1746-), 취습(-1703~1711-)으로 이어지는 조각승 계보에 속하고, 여찬이 활동한 지역을 보면 경기 안성, 충북 영동과 괴산, 충남 청양, 강원 속초와 삼척, 경북 상주, 경남 옥천사, 서울 등으로 전국을 무대로 활동할 정도로 유명한 작가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for wood seated Bodhisattva, enshrined at Youngdong Youngguksa Daeungjeon Hall. Originally Wood Buddha Triad were enshrined in main hall, but now one Bodhisattva and three pedestals have only remained. In August 2011, as an opportunity of Dendrochronology and Species which was conducted by Tree-Ring Material Bank,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scription written under pedestal of main Buddha was revealed. This votive inscription shows that Hongsin worked together as a Jeungmyeong who is required to understand detailed Buddhist ritual processes and Yeochan and Byeokhan took charge of carving Wood Buddha Triad in 1711 at late Joseon dynasty.
    Youngguksa wood seated Bodhisattva is mid size image, whose height is 83cm. It wears the crown decorated with shapes of flame and flower. Its upper body is slightly bended, and two hands are separately carved. The hand position for this sculpture is that its two thumbs and middle fingers are attached. This hand form is the most common in the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s. This Bodhisattva have a squared face, slightly open eyes, cylinder shape nose, and compressed mouth. The garment drapery patterns for this sculpture are displayed by several lines. Monk sculptor Guemun made a Buddha sculpture for this patterns.
    As a leader sculptor, Yeochan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In 1706, Yeochan and his teacher Guemmun made wood Seated Ksitigarbha in Ansung Chiljangsa. He donated for repairing Gwaebul of Gyeongbuk Pohang Bogyeongsa and participated in rendering Amitabha painting enshrined at Chungnam Chungyang Janggoksa in 1708. Then, he took charge of making Youngdong Youngguksa Wood seated Bodhisattva in 1711 and repairing Chungbuk Geosan Somisa Buddha in 1713, Gangwon Sokcho Singheongsa wood seated triad Buddha in 1720. Continuously, he made a wood votive tablet of private collection in 1722 and Gangwon Samcheok Samhwasa wood Seated Ksitigarbha in 1726 and paticipated in repairing Gangwon Goseong Yujeomsa Buddhist bell in 1729. Also, he produced Ten Kings of hell of Gyeongbuk Seongju Seonsuksa in 1741 and donated Painting of Ten Kings of hell-5th king in 1744. In addition, he had already appointed office position, because votive inscription of Seoul Bongeunsa Four Guardian Kings shows that Yeochan had official position 'Gaseondaebu(嘉善大夫). From these records discussed above, Yeochan worked actively from 1706 to 1746.
    Yeochan was born in 1670's and apprenticed to Guemmun in 1690's. He made sculptures and votive tablets as a leader from late 1700's to 1740's. He stayed at Pohang Bogyeonsa in his 30;s. Judging from that he participated in repairing Chungbuk Geosan Somisa Buddha, it is highly possible that he was born or became a Buddhist monk in GeosanFor this paper, I can present monk sculpture school’s pedigree: Taejeon(actively engaged in 1600-1615), Beopryoeng(1615~1641), Hyehui(1640~1677), Guemmun(1655~1706), Yeochan(1706~1746), Chwiseup(1703~1711). In addition, most of temples, enshrining Yeochan School’s Buddhist sculpture, are located in Gyeonggi Ansung, Chungbuk Geosan and Youngdong, Chungnam Chungyang, Gangwon Sokcho and Samcheok, Gyeongbuk Sangju, Gyeongnam Okcheonsa etc. As a result, Yeochan seems to cultivate this area for their sculpture pro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