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의 의승, 기억과 추숭의 담론 (The Monks’ Militia in Joseon: Discourses of Memory and Memorializ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조선의 의승, 기억과 추숭의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52호 / 93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용태

    초록

    임진왜란 당시의 승군(僧軍), 즉 의승(義僧)은 의병(義兵)과 마찬가지로 국난을 이겨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조선 정부나 유생(儒生)이 주도한 기억과 추숭의 장에서는 의병에 비해 의승의 비중이 현저히 낮았다. 그럼에도 청허 휴정(淸虛休靜)과 사명 유정(四溟惟政) 등 대표적 승장(僧將)에 대해서는 18세기에 들어 충의(忠義)를 기리는 표충사(表忠祠)가 지정되고 추모 향사(享祀)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조선의 의승을 둘러싼 담론에 주목하여 그동안의 연구를 정리해 보았다. 의승 활동은 근대기에 학술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는데, 승군을 이끈 승장 관련 연구는 1910년 무렵부터 시작되었다. 해방 이후에도 의승은 호국불교의 상징으로 인정되었으며, 승군 활동이 불살생(不殺生)의 계율과 충의 사이의 딜레마를 내포하기는 했지만 유교사회에서 요구되는 충의의 선양, 불교의 자비(慈悲) 정신의 발현 등으로 해석되었다.
    임진왜란 의승 활동은 불교가 조선 사회에서 어느 정도 지분을 갖고 나름의 역할을 하게 되는 전환적 계기가 되었다. 전쟁 이후 승군의 효용성이 부각되면서 승군과 승역(僧役)이 제도화되고 승도와 사찰의 존립 기반이 굳건해졌다. 승려는 공민(公民)의 자격과 의무를 갖게 되었고 사찰은 국가재정 운영 시스템 안에 편입되어 주어진 역할을 했으며 그에 상응하는 지원이 이루어졌다. 이는 의승 활동이 남긴 유산으로서 그에 대한 평가는 현재 진행형이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monks’ militia or monks’ righteous militia played a crucial role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just as the rightous army did, the monks’ militia was not hardly remembered or memorialized by the state or the literati class, especially compared to the righteous army. Nonetheless, renowned monk-generals, such as Cheongheo Hyujeong 淸虛休靜 and Samyeong Yujeong 四溟惟政, were enshrined in the eighteenth century into Pyochungsa 表忠祠 in honor of their loyalty where the memorial rite for them was sponsored by the government.
    This paper surveys previous scholarship, focusing on discourses on the monks’ militia in Joseon. The monks’ militia received scholarly attention quite early as research on the monk-general began in the 1910s. This attention to the monks’ militia continued after Liberation as it was regarded as the symbol of state-protection Buddhism. While the dilemma between violating the precept of non-killing and practicing loyalty was recognized, its activities were understood as not only the expression of Buddhist compassion but also the promotion of loyalty, a virtue demanded in a Confucian society.
    The loayl activities of the monks’ militia during the Invasions served as a turning point for Buddhism to play a meaningful social role in the Joseon society. As the efficacy of the monks’ militia was recognized, the monks’ militia and the monks’ state duty were institutionalized and, as a result, the founadation for the survival of the monks and temples were more firmly in place. The monks were accepted as legitimate people of Joseon and the temples were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finance system while the according duties and rights were given to them. These are heritiages of the monks’ militia, the assessment of which is still under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