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톤 보이슨의 생애와 공헌 (Anton Boisen’s Life and Contribu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2.05
41P 미리보기
안톤 보이슨의 생애와 공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목회와상담 / 38권 / 187 ~ 227페이지
    · 저자명 : 이효주

    초록

    안톤 보이슨은 목회상담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보이슨의 삶을 소개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국에서 목회상담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보이슨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접근하는 것에 큰 걸림돌이 있는 상황이다. 임상목회교육과 함께 시작된 목회상담 분야가 성장한 지 근 한 세기가 지나는 이 시점에서 목회상담의 개척자인 보이슨의 삶과 그가 이 분야를 개척하며 주장했던 “살아있는 인간 문서”라는 용어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것은 의미 있다 할 수 있다. 그 사람이 살았던 시대와 그와 함께 한 사람들을 이해할 때 누군가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듯이, 보이슨 역시 보이슨의 가족들과 그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 중요한 타자들과 중요한 사건을 통해 이해할 때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하여, 이 연구는 보이슨의 생애를 돌아보고 그의 “살아있는 인간문서를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주장을 사회적 정황 안에서 이해하며 인간문서를 이해하기 위해 보이슨이 사용했던 사례연구방법의 기본적인 틀이 무엇인지 살피고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사람의 인생을 짧은 소고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이 큰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앎에도 불구하고, 그를 이해하기 위해서 보이슨의 가족 외에 보이슨이 맛본 내적 갈등과 삶에서의 큰 좌절, 보이슨의 평생의 연인으로 알려진 앨리스 배챌더, 조현병으로 인한 정신병원으로의 입원 생활, 그리고 환자로 입원했던 병원에 채플린으로 부임하여 임상목회교육을 시작하기까지 보이슨의 삶에서의 굴곡을 탐색한다. 또한 신학생들에게 임상목회교육이라는 특별한 시간을 할애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했던 보이슨이 보였던 개혁성을 살피고, 그러한 개혁의 필요성이 한 세기를 지난 지금 한국 교회와 신학교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이슨이 임상목회교육에서 살아있는 인간 문서를 탐색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사례연구방법은 무엇이었는지 소개하고 그러한 사례연구방법이 현재 임상목회교육에서는 축어록 발표(verbatim presentation)라는 형식으로 이어지는 점을 밝혀 한국에서 훈련받고 있는 예비 목회자들을 위한 신학 교육의 미래를 위해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Anton Boisen is known as the father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However, research on the life of Boisen in Korean is very limited, so students studying the field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Korea have a big obstacle in ac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Boisen’s life. At this point, about 100 years after the emergence of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it seems meaningful to look back on the life of the pioneer of pastoral counseling and the meaning of the term “living human document” that he claimed while pioneering this field. Just as we can understand someone more deeply when we understand the times in which they lived and the people with whom they lived, so too can we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Boisen when we understand him through the events of his family and important others who had had a great influence on him. Therefore, this study looks back on Boisen's life to comprehend his insistence on "cultivating the ability to read living human documents" in a social context.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basic framework of the case study method Boisen employed to study living human documents to examine their meaning and consider what it means to us today. Although a short article can offer only a limited view of a person's life, in order to understand Boisen at a deeper level, this article examines selected aspects of his life including his inner conflict and frustration; his relationship with Alice Batchelder, known as his lifetime lover; his admission to a psychiatric hospital due to schizophrenia; his appointment as a chaplain to the hospital where he was admitted as a patient; and his family. The article also examines is the reformability of Boisen, who insisted on the need to devote a special time to seminarians for clinical pastoral education, to reflect on what the need for such reforms means for Korean churches and seminaries after a century has passed. To this end, the case study method Boisen used to search for living human documents and the continued form of verbatim presentation in current clinical pastoral education will be introduced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of theological education of prospective pastors being trained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목회와상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