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극의 은유적 표현과 시각화에 관한 연구- 『시학』의 ‘미메시스’와 ‘메타포’ 개념을 중심으로 – (Study on Metaphorical Expression and Scenography in Theatre Art - Focusing on the Concept of ‘Mimesis’ and ‘Metaphor’ in Poetics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연극의 은유적 표현과 시각화에 관한 연구- 『시학』의 ‘미메시스’와 ‘메타포’ 개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51호 / 115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중효

    초록

    미메시스(mimesis)와 메타포(metaphor)는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384-BC322)의 『시학(Poetics)』에서 다뤄지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이와관련된기존의 논쟁은 예술이나 미학의 관점 혹은 문학의 표현방식 등을 바라보는 관점과 해석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대부분이었다. 그럼에도 우리가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이 극예술의 본질과 창작원리에 대한 고찰로부터 출발되었다는 점이다. 연극 규범의 원형으로 알려진 미메시스와 메타포는 현대연극의 관습에서도 여전히 적용되고 또 기능하고 있다.무대 위에서 드러나는 모방된 허구가 현실보다 더 실제처럼 표현되는 원리는 무엇이고, 메타포에 의한 시각적 표현은 어떻게 모방 혹은 재현의 이미지와 관계맺기를 하는가. 이러한 물음에서 비롯된 이 글은 미메시스의 개념과 연극의 말하기 방식을 통해은유적으로 서술되는 무대 시각화의 언술체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한된 시간과 공간에서 진행되는 연극예술은 무대와 관객 간의 소통을 위해여러 장르의 시청각적 요소를 차용하는 독특한 말하기 방식을 가지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시학』에서 ‘드라마는미메시스이다’라고 정의한 이래 연극은 대표적인 모방 혹은 재현의 예술이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하고 있듯이 미메시스를 ‘모사(模寫)’가 아닌‘묘사(描寫)’의 차원으로 해석한다면 연극무대는 은유의 공간으로 해석될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연극은 삶의 모사가 아닌 실제 세계를 은유적으로 재현하는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내용은 허구이지만 동시에 진짜처럼 수용되는 과정에서 은유의 시각적 언술체계에 의해 ‘심상화’가 작동되기 때문이다.
    은유의 시각화는 희곡에 담겨진 다양한 의미의 층위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작품의 의미를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회화, 텔레비전 드라마, 소설 등의 타 장르에서도 유효하게 작동된다. 미메시스와 메타포에 관련된 이와 같은논의는 궁극적으로 연극의 기능과 양식의 문제와 관계를 맺고 있다.무대표현의 문제는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상관관계를 맺으며 미적가치도 함께 변화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미메시스를 형식의 문제로 인식했던 것처럼 카타르시스를 취득하기 위한 또 다른 유용한 도구로서의 수사법이 문자와 음성언어를 포괄하는 은유의 시각적 언술체계인 것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는 연극에서 장황한 설명을 짧게 응축할 수 있는 은유의 시각화는 관객의 지각반응에 설득적인 표현의 매개가 될 것이다.
    시각 이미지와 문자 텍스트는 무대 표현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모조나 복제가 아니라 적어도 모방을 통한 최소한의 진실 그 자체를 반영한다. 이러한 상보적인 관계는 일찍이 희랍의 무대에서도 발견되듯이,무대의 시각화 작업에서도작가, 연출가, 미술가 모두가 텍스트와 이야기 뒤편에 존재하는 무엇인가를 드러내고 강화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현대연극이 요구하는 공연 텍스트의 시각화는 장식적이거나 부수적인 무대활동이 아니라 이미지에 스토리를 입히거나 스토리를 이미지화하는 작업이며 무대미술적 드라마투르기이다. 인간 행동의 본질과 세계의 진실을 묘사하는 은유의 시각화 방식은 연극이 창조적 모방의 예술이며 현대의 무대에서도 본래의 본성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엿보게 해준다.

    영어초록

    Mimesis and metaphor are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concepts in Aristotle’sPoetics, which is regarded as the first philosophical and oldest theatrical theory.
    The argument with mimesis and metaphor has been continued for a long timeamong scholars and philosophers due to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and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s. Regardless of the prolonged disputes, theAristotelian concepts penetrate the nature and creative principles of theatre arts.
    As essential elements in dramatic works, mimesis and metaphor still reflect theconvention of theatre today. This article deals with questions related to theillusionary world on stage that depicts the inner reality of human beings andtheir mundanity. In addition, creative principle of metaphorical expression forscenograhpy that describes the illusionary world on stage is also discussed. Thestudy takes its aim at seeking metaphorical manifestation of stage images, andbriefly analyzes scenography embodied by visual languages based on references tomimesis and metaphor.
    With operating features of limited space and time, theatre is needed anexpressional tool of implicative expression for interweaving communicationsbetween stage and auditorium. Since formalizing the concept of mimesis byAristotle, theatre has been recognized as an art form to represent or imitate theactualities of the world. As a matter of fact, metaphor is an effective vehicle toimply the truth of the world on the stage. While interpreting the mimesis as representation rather than mimicry, the stage is regarded as the actual world thatis the realm of metaphor in fact. The reason that the replica on stage looks realdepends on the method of metaphorical expression in the theatre, which is whytheatre is said to be the metaphor of reality not the replica of life.
    It could be said that theatre is not a copy of actuality but metaphor of reality.
    The metaphor on stage can be interpreted as a theatrical revelation induced bythe image of transformation. The argument with the mimesis and metaphor iseventually related with the style and function of theatre arts. Metaphor is ameans to describe something complicated into implication with lingering imageryin terms of theatrical expression. Metaphorical expression on the stage should beeffectively appli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ed space and time of theatrearts. Impression of the visual metaphor is varied according to multiple conditionsin which perception or expression causes somewhat different aspect of the feelingaffected by the metaphorical image. This alteration is often connected with the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transition of aesthetics’ value as well. As atheatrical style is used for portraying the truth mimesis is an engine to obtain thecatharsis that Aristotle described as an objective of the ancient Greek tragedies.
    Moreover, Aristotle’s Poetics seems to stress the metaphorical expression as oneof theatrical instruments to evoke the catharsis with the mimesis of the humanaction.
    As the way of transforming real life into stage space is expressed, it is likelya working of transition for a typed text into a play. It is the process oftransition in an art form from the physical worl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scenes of reality and pictures? How are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realities inlife and sceneries on stage interconnected seamlessly? Although these questionswould be interpreted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each theatre practitioner, itis obvious that the inquiry is related with the concept of mimesis. The essentialis to distinguish authenticity between reality and picture. It is not easy to figure out which one is the truth of reality through picture, painting, novel, drama or soon. As a matter of fact, it would not be shortly discussed as it has been alwaysargued in history.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original contents is normally measured in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depth of truth in the original. It is the samecase that people consider painted portraits, depending on the fidelity of physicalreality in the original version. This transition is applied to justify other genressuch as television dramas, movies and plays for instance. However, the conceptof fidelity is not related with the exterior look of the artistic expression whenpeople measure the translated materials into another genre. Instead, they questionwhether to effectively portray a key concept of the original into the transitionalversions. The environment of multi-modern society urges to introspect theirheritages. The theatre as a representative art form is likewise no exceptional fromthis urge. The transformation of the presentation style in modern theatres can beobserved without difficul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