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SCL에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affolds for Interac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Argumenta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0.12
40P 미리보기
CSCL에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학연구 / 41권 / 3호 / 53 ~ 92페이지
    · 저자명 : 방선희, 김동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SCL에서 협력적 논증 활동 시 학습자간 유의미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스캐폴드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탐구를 통해 협력적 지식구축의 인식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협력적 논증의 절차와 구조화, 논증적 사고를 지원하는 스캐폴드의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것이 협력적 논증 활동 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빈도와 상호작용의 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청주에 위치한 S대학의 교직과목 수강생 102명으로, 서로 의견이 다른 2인이 1조가 되도록 총 51개 조로 구성되었다. 각 그룹은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 유형에 따라 3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약 5주의 기간 동안 웹기반 실험환경에서 협력적 논증 활동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상호작용의 빈도수는 구조화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를 제공한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유형별 분석에서, '주장'과 '외재화'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논증 스캐폴드의 제공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안'과 '통합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3집단 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답변'과 '빠른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는 구조화의 유무에 상관없이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 제공 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합의'와 '유도'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수는 구조화된 협력적 논증 스캐폴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충돌에 의한 합의' 유형의 상호작용 빈도수는 스케폴드 제공의 유무에 상관없이 강제성을 부여한 구조화가 제공된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분석 결과는 협력적 논증 지원을 위한 스캐폴드가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자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affolds that support collaborative rgumentation activities between learners in CSCL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in CSCL, whose objective is knowledge building refines the opinions and claim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romotes critical thinking about the subject. Also, at the group level, i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members to understand the domain knowledge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sharing knowledge and perspectives between them and to experience conceptual changes,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of the group. For this, learn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ctivities should experience critical argumentation and interact meaningfully.
    This study considered the particularities of collaborate argumentation,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nd the mechanism of building knowledge to support mutua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whose purpose is knowledge building. Through this, the design principle of scaffolding that comprehensively supports the sequence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structuring of single argumentation, and skills argumentative reasoning, was deduced. For a corrobo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the developed scaffolds, this study composed and applied a CSCL environment, which is a specialized environment to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The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he form of scaffold offered to support meaningful interaction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between learners For this,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essages, and the form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were analyzed.
    This study concluded the following.
    A comparison of the group that was structurally provided with the compulsory scaffolding (Test Gruop 2), the group that was provided scaffolding without a structure (Test Gruop 1), and the group that was provided with general argumentation scaffolding (control group)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messages of Test Gruop 2 was meaningfully higher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 Gruop 1 and the control group.
    An analysis of the procedural aspect of argumentation for an analysis of the forms of mutual interaction and an analysis of the forms of social interaction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claims, and the frequency of externalization messa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between the frequency of counterarguments and the frequency of integration-oriented consensus building messages between all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caffold offering for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the existence of absence of coercion (structuralization). Reply messages and quick consensus building messages al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caffold offering to support collaborative argument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provision through structuralization of coercion. Also, consensus building messages, elicitation messages, and conflict-oriented consensus building messages al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not in the provision or scaffolding dur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but in the degree of structuralization of coercion.
    In conclusion, the scaffolding for collaborative argumentation provid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an effect on promoting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