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대안적 전시장으로서의 마켓 플레이스와 중국 현대미술계 (Marketplace as the Alternative Exhibition Site in the 1990s and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Worl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7.06
29P 미리보기
1990년대 대안적 전시장으로서의 마켓 플레이스와 중국 현대미술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미술사연구 / 41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고동연

    초록

    1989년 《중국현대예술전(中國/現代藝術)》으로부터 2000년 《상해 비엔날레》까지 중국 내에서 실험예술에 대한 검열이 강화되었던 시기에 중국 내 젊은 세대의 작가들이나 작가 공동체들이 어떻게 공식적인 미술관이나 화랑이 아닌 대안적인 전시공간을 전략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대중소비문화가 확대되었던 1990년대 중국 내에서 상점, 음식점, 쇼핑센터와 같은 마켓 플레이스가 전시 장소로 활용되게 된 배경에도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990년대 전반기에 1993년 북경 맥도날드에서 열린 새로운 역사 그룹의 《새로운 역사 1993: 대중소비(新歷史小組 1993: 大眾消費)》, 하반기에 1999년대 쉬전이 주도가 되어서 기획한 《슈퍼마켓 예술전(超市藝術展)》을 각각 대표적인 예로 다룬다. 이를 통하여 서구현대미술사의 예들과는 달리 중국식 대안적인 전시행태가 등장하게 된 특수한 정치,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중국의 행위, 영상, 설치 등의 실험적인 매체를 다루던 작가들이 공공의 마켓 플레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중국정부의 감시를 피하면서도 중국 내 관객의 폭을 확장하고자 하였던 독창적인 해결방식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how the younger generation of Chinese contemporary artists and collectives used the alternative exhibition sites outside of art museums and galleries in the 1990s, the decade known for the Government’s oppressive policies against experimental arts in China, particularly after the notorious China/Avant-garde in 1989 until Shanghai Biennial in 2000. It also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1990s as popular culture and consumerism became rapidly expanded in China; subsequently, an array of marketplaces such as stores, restaurants, and shopping centers became appropriated as the sites for art exhibitions. New History 1993: Mass Consumption (1993) by the New History Group, the exhibition held at Mcdonald, Beijing, and Art For Sale (1999) led by Xu Zhen, will be closely examined as each representing the earlier and latter types of unconventional art exhibitions. The emphasis, thus, rests upon highlighting uniqu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which alternative types of art exhibitions arose in China, distinct from its western counterparts. Furthermore, it also highlights creative solutions that Chinese performance, media, and installation artists had devised by using marketplaces in order to avoid censorships as well as to expand their audiences within Chines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