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디스 슈클라(Judith Shklar)의 정치적 자유주의: ‘공포의 자유주의’를 중심으로 (Judith Shklar’s Political Liberalism: A Reflection on ‘The Liberalism of Fear’)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7.03
22P 미리보기
주디스 슈클라(Judith Shklar)의 정치적 자유주의: ‘공포의 자유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7권 / 1호 / 39 ~ 60페이지
    · 저자명 : 설한

    초록

    슈클라의 자유주의는 정치문제를 윤리나 종교, 철학 문제와 구별하기 때문에 형이상학적인 포괄적 교리가 아니라 정치적 자유주의로 흔히 분류된다. 그녀의 자유주의는 어떠한 긍정적 덕성을 함양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기보다는 악덕을 피하는 것을 우선적인 과제로 한다. 특히 잔혹함을 가장 큰 악덕으로 간주하여 잔혹함과 잔혹함이 야기하는 공포로부터의 해방을 목적으로 하는 데에 그 본질이 있다. 즉, 그녀의 자유주의가 기반으로 하는 유일한 도덕적 토대는 최고선이 아니라 최고악, 즉 잔혹함의 존재이다. 따라서 그녀는 자신의 자유주의를 권리나 정의에 의해 도출된 자유주의와는 달리 ‘공포의 자유주의’라고 부른다. 슈클라는 잔혹함이 정치적·사회적 삶에서 행하는 역할에 주목하여 그것을 분석함으로써 그녀가 의미하는 정치적 자유주의관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슈클라는 새로이 규정될 필요가 있는 자유주의는 삶에 대한 포괄적 철학이 아니라 단지 정치적 교리라는 것에 대해 롤즈와 의견을 같이 한다. 그러나 합당한 모든 개인들에게 수용될 수 있는 추상적인 원칙 그리고 그들의 중첩적 합의를 애써 추구하는 것에 있어서는 롤즈를 따르지 않는다. 하지만 슈클라의 자유주의가 갈망하는 평등하고 보편적인 보호와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잔혹함을 이루는 것에 관한 그리고 개인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제들의 구체적 특성에 관한 광범위한 공적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슈클라의 공포의 정치적 자유주의가 중첩적 합의의 확보 필요성 그리고 합당성에의 의존과 관련해 다소 문제점은 있지만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와 완전한 대척점에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슈클라는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와 구별되는 의미 있는 대안적인 정치적 자유주의를 제시한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클라 자유주의의 독창성은 그것이 환상이 없다는 것, 즉 자유주의를 지탱해온 역사적 진보에 관한 철학과 분리되어 있다는 사실과 함께, 인간이성에 관한 철학적 사유에서가 아니라 공포와 잔혹함의 실존적인 경험에서 나온다는 사실에 있다.

    영어초록

    Shklar’s liberalism is usually labeled as political liberalism, not a comprehensive metaphysical doctrine, since it makes a distinction between political issues and ethical, religious, and philosophical ones. Its primary task is to avoid vices rather than to cultivate certain positive virtues. Regarding especially cruelty as the biggest evil, her liberalism sets liberation from cruelty and the fear it inspires, as its essential goal. That is, the moral foundation of her liberalism is the existence of not summum bonum but summum malum, i.e., cruelty. Therefore, Shklar calls her liberalism ‘liberalism of fear’ unlike liberalism which is derived from rights or justice. Shklar focuses on developing her definition of political liberalism by drawing attention to and exploring the role that cruelty plays in political and social life.
    Shklar agrees with Rawls that the liberalism which needs to be defined anew is not a comprehensive philosophy of life, but only a political doctrine. But, she does not follow Rawls in his search for abstract principles acceptable to and for an overlapping consensus of all reasonable individuals. However, in order for her liberalism to secure the universal and equal protection and freedom to which it aspires, an overlapping consensus both on what constitutes cruelty and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mechanisms to be employed to protect individuals seems to be necessary. In this regard, it cannot be said that Shklar’s liberalism of fear takes the opposite stance against Rawls’s political liberalism on its need to secure an overlapping consensus and its reliance upon reasonableness. If so, Shklar’s liberalism of fear cannot be said to offer a meaningful alternative of political liberalism. Nevertheless, the originality of Shklar’s liberalism lies in the fact that it is without illusion, that is, severed from the philosophy of historical progress, but also is derived not from a philosophical conception of human reason, but from an existential experience of fear and cruel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