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비쿼터스 기반 실험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Ubiquitous Experiment Simulation System)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4.08
13P 미리보기
유비쿼터스 기반 실험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계획 / 49권 / 5호 / 173 ~ 185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유엔(UN) 경제사회국(DESA)은 2050년 세계 인구가 93억명으로 증가하며, 이중에서 도시 인구가 63억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Washburn, Sindhu, 2010). 도시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자원 고갈과 인프라공급의 위기 등의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세계의 도시는 자원공급에 기반한 도시성장의 한계를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의 성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도시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세계의 도시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U-City(Ubiquitous City), 유럽과 미국에서는 Smart City로 변신 중이며, 세계 130여개 도시에서 국가와 민간 주도로 U-City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국토교통부, 2013).
    U-City는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저비용 고효율의 도시를 지향하며, 도시운영비용(Urban Operating Cost)을 줄이고, 새로운 창조공간을 만들어 공간가치(Value)를 창출하는 동시에, 기존 공간의 점유율(Occupancy Rate)을 높여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등 ICT와 도시의 동반성장을 주요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
    U-City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개발, 제시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반 실험시뮬레이션 시스템(이하 유비쿼터스시스템, Ubiquitous System, US)들을 통하여 구체화 되고 있다. US는 완전히 정착되었다기 보다는 실험실 차원의 실험시뮬레이션 프로토타입(Prototype) 개발에서 현장적용을 위한 Testbed형 프로타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개념적으로, 기술적으로 계속 진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계획 또는 건설분야에서는 유비쿼터스 기반 메가트렌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건설업은 고부가가치의 유비쿼터스에 기반한 새로운 건설 상품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 공간계획과 ICT의 융합이라는 어려움과 이해 부족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ty의 핵심인 US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개념과 구조 그리고 기술을 제시하였다. US의 진화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대표 사례를 검토하여, 각 사례들에 나타난 개념을 일반화하고 US의 개발에 필요한 구조와 기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US의 사례는 시민, 활동, 시설, 공간환경 등의 측면에서 ICT를 이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려는 시스템이다.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정책실험시뮬레이션시스템 UESS (Ubiquitous Experiment Simulation System), 도시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에코지능화시스템 CEMS(Carbon Emission Monitoring System),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공간공유시스템 IPS(Intelligent Parking System), 시민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민참여시스템 CMSM( Citizen's Made Safety Map)이다. 이들 US는 실험실 차원이나 현장의 프로토타입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현재 실험중이거나 부분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사례이다.

    영어초록

    Ubiquitous City(U-City) is becoming smarter with increasingly relying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or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UCT) to overcome the challenges from rapid urbanization. U-City is efficiently driven through ubiquitous system(US) which is the collection of UCT such as software, server infrastructure, network infrastructure, and client devices.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U-City, urban planners should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the ubiquitous system is, its key structures or architectures, their role in it, and what kinds of UCT are used. This paper aim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rough analyzing ubiquitous system examples. Ubiquitous system is conceptually evolved towards the real time based data acquisition and update, the information connection and convergence, and the facility automation and intelligent space. There are many and various types of US such as decision support system, Carbon Emission Monitoring System for green environment, Intelligent Parking System for the space sharing, and public participation system. These US have four common structures or architectures which are information production sub-system, information collecting sub-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ub-system, and information connected application sub-system. These sub-system are working by UCT such as sensor, network, protocol based on TCP/IP, Web 2.0 based on mobile web. Also, users are allowed to interact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n a social media dialogue in a virtual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토계획”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