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다나 미슈라의 스포따론 (The Sphoṭa Theory of Maṇḍana Miś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0.02
24P 미리보기
만다나 미슈라의 스포따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15권 / 3호 / 369 ~ 392페이지
    · 저자명 : 최종찬

    초록

    이 논문은 만다나 미슈라의 『스포따씻디』를 조명한다. 만다나 미슈라의 주된 논점은 의미를 전달하는 샤브다가 음이나 음소들이 아닌 그 이상의 실체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는 음소들과 구별되는 내적 단어, 즉 스포따를 논리적 필연성과 일관성을 바탕으로 증명한다. 이를 위해 그는 꾸마릴라 밧따가 제시한 스포따에 대한 부정적 주장들을 바르뜨리하리의 견해를 빌어 논박하는 형식을 취한다. 그는 스포따론과 관련하여 샤브다의 본질, 스포따의 표현과 인지, 스포따의 실체성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스포따는 샤브다의 본질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샤브다의 본질은 일차적으로 의미 전달 능력에 있다. 꾸마릴라 밧따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은 음소들이며 따라서 음소들의 집합이 바로 샤브다라고 주장한다. 즉, 단어의 마지막 음소가 선행하는 음소들의 인지를 통해 남겨진 잠재인상의 도움을 빌어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잠재인상은 아뿌르바와 같은 특별한 능력을 지닌 것으로 다루어진다. 만다나 미슈라는 이와 같은 주장을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논박하고 스포따는 음소들을 통해 지각되는 샤브다의 본질이며 음소들이 아닌 그 이상의 실체임을 강조한다.
    만다나 미슈라에 따르면 각 음소들은 스포따를 드러낸다. 첫 음소가 인지되는 순간부터 드러나기 시작하며 처음에는 모호하게 그리고 나머지 음소들이 뒤따르면서 점진적으로 명료하게 드러난다. 스포따는 음소들을 통하여 드러나기 때문에 스포따가 처음에는 음소들로 나타난다. 이처럼 스포따를 인지하는 과정은 일련의 오류를 수반한다. 스포따의 표현의 원인이 되는 음소들은 또한 음소들로 나타나는 오류의 원인이기도 한 것이다. 스포따가 음소들인 것처럼 나타나거나 또는 음소들이 스포따의 부분인 것처럼 나타나는 것은 유사한 음들에 기인한다. 유사한 음들이 잘못 동일시됨으로 인해 음소들의 능력이 혼동되고 이 혼동으로 인해 문장 스포따 또는 단어 스포따는 음소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착각된다. 이러한 오류는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는 개인의 한계, 즉 무명으로 인한 것이다. 일반인들은 스포따를 인지하는 수단으로 음소 이외에는 갖고 있지 못하다.
    스포따는 직접적 지각을 통해 인지되며 따라서 점진적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모든 음소들이 발성된 후에야 온전히 드러난다. 그리고 온전히 드러난 스포따를 통해 의미가 전달된다. 일부의 음소들은 스포따의 부분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불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스포따는 불가분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스포따는 단일체로서 음소들과는 구분되는 독립적인 존재에 해당한다. 미만사학파는 음소들이 인지된 후에 의미가 이해되는 것으로 미루어 음소들이 의미를 전달한다고 주장하지만 의미의 이해는 샤브다가 이해된 후에 가능하며 그 샤브다가 바로 스포따에 해당한다. 스포따의 존재는 우리가 의미를 이해한다는 사실로 확정되며 따라서 스포따는 영속적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gives light on the Sphoṭasiddhi of Maṇḍana Miśra. Maṇḍana Miśra deals mainly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word which conveys the meaning is an entity over and above the sounds or the phonemes. He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the inner word, as distinct from its sounds, in terms of logical necessity and consistency. He states, in his own words, the main arguments of Kumārila Bhaṭṭa against the Sphoṭa doctrine and those of Bhartṛhari, as the counter-arguments, with quotations from the Vākyapadīya. The subjects for discussion include the essence of śabda, the expression and cognition of the sphoṭa, and the substantiality of the sphoṭa.
    The sphoṭa is defined as the essence of śabda. The latter lies primarily in the capacity to cause the birth of the knowledge of an object. Kumārila Bhaṭṭa argues that the phonemes themselves are the cause of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that, when grouped according to units of meaning which are understood, they are called words. According to him, the last phoneme of the word, accompanied by the residual impressions(saṃskāras) left by the previous phonemes, is expressive of the meaning. He defines the impressions not as a memory trace, but rather as something else which is similar to the effect called apūrva(residual force). Maṇḍana refutes the above argument on the logical basis and identifies śabda with sphoṭa.
    According to Maṇḍana, each sound individually reveals the whole sphoṭa. All the previous sounds bring about in the listener cognitions in which the word figures vaguely and which sow seeds in the form of residual impressions capable of producing a later clear cognition of the word, and the last sound produces a clear cognition in which figures clearly the image of the sphoṭa.
    Another aspect of the sphoṭa explanation is that the final clear perception of the sphoṭa is achieved through a series of errors. As the sphoṭa is revealed through the cognitions of each of the phonemes, it at first appears in the form of the phoneme. Thus the phonemes which are the cause of the manifestation of the sphoṭa are also the cause of the error in which the sphoṭa appears as the phonemes. It is the sounds that resemble one another which are the cause of the error. Sounds are wrongly identified because of the resemblance in the contacts and separations of the vocal organs. Being wrongly identified, their powers are confused. Because of this confusion, one thinks that the sphoṭas in the form of the sentence or the word have parts whereas they have none. One peculiarity of this error is that it takes place inevitably in the case of everybody. Its main cause is due to the limitation or avidyā ‘ignorance’ of the individual self. Ordinary people have no other means of cognizing the sphoṭa except the phonemes.
    The sphoṭa is cognized through direct perception. That is why the sphoṭa is revealed gradually, at first vaguely and then clearly. And only after all the phonemes are uttered, a clear cognition of the sphoṭa takes place and the meaning is conveyed. Individual phonemes does not reveal the parts of the sphoṭa, but they do vaguely, because it is an indivisible entity.
    The sphoṭa as a single unit has independent existence even if it appears to be mixed up with the cognition of the phonemes. As to Mīmāṃsaka’s argument that because it is after the knowledge of the phonemes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takes place, it is the phonemes which constitute the word, Maṇḍana refutes it by saying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is possible only after the understanding of the word and that word is the sphoṭa. The sphoṭa the existence of which is determined by the fac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can only be eter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