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세대 파트너쉽 중심 해안 지역 활성화 및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 연구 (A Study on Multi-Generation-Centric Coastal Regional Revitaliz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3.12
15P 미리보기
다세대 파트너쉽 중심 해안 지역 활성화 및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5권 / 4호 / 145 ~ 159페이지
    · 저자명 : 남진보

    초록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와 이로 인한 환경적, 사회적 부정적인 현상에 대한 대응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쟁점에서 각국은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목표를 세우며 다양한 해결방안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대응의 쟁점과 더불어 지역 활성화라는 또 다른 쟁점이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특히, 해안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해 활성화가 우선시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자주 제기된다. 이에, 해안지역 활성화와 기후변화대응은 동시 대응의 필요성이 언급된다. 더하여 이와 같은 쟁점이 지속 가능하기 위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프로젝트의 필요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관련하는 학술적, 실증적 대안은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반면, 세계에서는 이와 관련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캐나다 밴쿠버시의 최근 프로젝트 사례는 두 가지 쟁점의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프로젝트로 분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 프로젝트 사례의 특징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트너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공부문이 개입이 제한적인 다차원적 파트너쉽 구조이며, 공공부문, 비즈니스/학계, 커뮤니티 부문, 청년 부문의 파트너쉽 클러스터를 보여주며 4중 나선 혁신모델의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소수의 적극적 구성원의 청년 참여 활성화라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청년 참여는 적극적 공동체 파트너쉽 구축으로 연결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연안 지역 활성화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고찰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4중 나선 혁신모델 구축,  적극적 청년 개입을 위한 공공부문의 정책 제안,  커뮤니티 단체의 적극적 운영 참여 시도이다. 이와 같은 결과 도출은 사례 분석 연구를 통해 실현가능한 프레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에서 연안 지역 활성화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바와 같이 적극적 청년 참여를 통한 파트너쉽 구축과 이를 통한 4중 나선 혁신모델의 프레임을 완성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Recently, global warming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response to negative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s has been becoming an overriding issue domestically and globally. Every single country has proposed various solutions to these issues while setting the goal of realizing carbon neutrality. In addition to the recent issue of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other issue of regional revitalization is constantly being mentioned. In particular, the need to prioritize revitalization over urban areas is often raised.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and need for simultaneous response to coastal revitaliz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a project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is also being raised. However, there are few academic and empirical alternatives.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project case in Vancouver, Canada, is verified as an important project in addressing the two issu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roject case were analyzed focusing on partnership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s a result, the public sector is a multidimensional partnership structure with limited intervention, showing a partnership cluster in the public sector, business/academic, community, and youth sectors and indicating a frame for a quadruple innovation model. Second, setting the activation of youth participation up by a small number of active members and youth participation have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ctive community partnerships. Third, rethinking of in-depth considerations and proposing inevitable implications for domestic coastal areas revitaliz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were drawn. It attempts to establish a quadruple helix innovation model, propose public sector-led policies for active youth interven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ty organization-based management. The derivation of these results was confirmed to be a feasible frame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studies, which actively raises the need for attempts at revitalization of coastal areas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