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괄호’와 ‘쉼표’의 (무)의미 생성 연구—김춘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n)Sense Creation of ‘Brackets’ and ‘Comma’—Focusing on Kim Chun-su’s Poem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2.09
47P 미리보기
‘괄호’와 ‘쉼표’의 (무)의미 생성 연구—김춘수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90호 / 5 ~ 51페이지
    · 저자명 : 공라현

    초록

    김춘수는 1960년대 전후(戰後)의 혼란한 현실 속에서도 ‘무의미시’라는 전복적인 시학을 추구하여 언어적 실험을 통한 텍스트의 절대 자유를 실천한다. 그는 대상으로부터 역사와 이데올로기를 배제하고 관념과 의미를 소거하여 대상의 기표와 기의 사이의 연결이 해체될 때 무의미 시가 생성된다고 본다. 즉, 무의미는 대상에의 속박에서 벗어난 순수언어의 ‘무한으로의 해방’, 혹은 ‘허무’를 함의한다. 따라서 김춘수의 무의미시는 새로운 시적 의미를 생산하는 것이자 대상이 새로 소생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김춘수는 이러한 무의미시의 언어를 형성하는 시적 장치로서 문장 부호인 ‘괄호’와 ‘쉼표’를 유의미하게 활용한다. 그는 모난 괄호(「 」)를 통해 인간은 관념, 의미 체계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다는 비극성을 환기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은 이 공간에서 고립감과 안전함을 동시에 느낀다. 또한, 김춘수는 주체적인 욕망의 발동으로 인해 발설하지 않고는 못 견디는 은밀한 내면의 목소리와 다중적 목소리를 둥근 괄호(( ))로 표시함으로써 텍스트의 무의미 작용을 강화한다.
    다음으로 그는 문장의 종결부에 마침표가 아닌 쉼표(,)를 표기하여 ‘의도적인 미완성’으로 시를 완성한다. 이러한 쉼표의 배치는 ‘의미의 공백’을 만들어 의미의 진행을 유보한다. 이것은 시인이 설계한 일종의 ‘방해’이자 ‘지연’으로서 ‘무의미시’를 구성하는 준거가 된다. 이때 ‘쉼표’는 ‘무한으로의 확장’을 시도하여 김춘수가 갈망했던 허무의 세계로 유도한다. 또한, 김춘수는 물음표(?), 느낌표(!), 마침표(.), 말줄임표(……)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쉼표를 사용하여 그로 인한 ‘자유연상’이 나타나 의미의 그림자들이 분화·확장되는 현상을 다룬다. 이러한 쉼표의 표기는 본래의 부호가 갖는 의미들과 이미지들이 역동적으로 중첩되고 결합되는 무의미 생성과정과 연관된다. 종합하면, ‘괄호’와 ‘쉼표’라는 기표는 언어 기표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의미 작용을 수행하여 무의미시에서 새로운 (무)의미를 생산하는 중요한 시적 기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Kim Chun-su pursues the subversive poetics of ‘nonsense poetry’ and practices the absolute freedom of text through language experiment even in the chaotic reality of the postwar in 1960s. He considered that nonsense poetry is create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of the object is dismantled by excluding history and ideology from the object and eliminating ideas and sense. Nonsense implies liberation to infinity, or ‘nihility’ away from the bondage to the object. Therefore, Kim Chun-su’s nonsense poetry can be defined as producing a new poetic sense and reviving an object.
    Kim Chun-su uses the punctuation marks as ‘brackets’ and ‘comma’ meaningfully as a poetic device that forms the language of nonsense poetry. He evokes the tragedy that all human beings are born and raised in angulate brackets, so they can never escape from the ideology and sense system that the brackets symbolize. However, humans ironically feel both isolated and secure in this space. In addition, Kim Chun-su reinforces the nonsense creation of the text by indicating the secret inner voice and multiple voices that cannot be endured without speaking due to the invocation of subjective desire with parentheses.
    Furthermore, he completes the poem with ‘intentional incomplete’ by marking a comma at the end of the sentence, not a period. This arrangement of commas creates a ‘blank of sense’ to reserve the progression of meaning. This is a kind of ‘interference’ and ‘delay’ designed by the poet, which is the reference for composing nonsense poetry. At this time, the ‘comma’ attempts to ‘expand to infinity’ and leads to the world of nihility that Kim Chun-su longed for. Kim Chun-su also deals with the phenomenon in which ‘free association’ appears and the shadows of sense are differentiated and expanded by intentionally using commas where question marks, exclamation points, periods, and ellipsis should be placed. This notation of commas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creating nomsense in which the sense and images of the original punctuation marks are dynamically overlapped and combined. In conclusion, the signifiers of brackets and commas, like the language signifiers, could be an important poetic mechanism for producing a new (non)sense in nonsense poetry by performing independent signif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