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니파와 쉬아파의 분쟁에 대한 정치적 이해(시리아와 예멘 사태를 중심으로)Sunni-Shia,Proxy Wars,Wahhabism,Saudi Arabia,Iran,Sectarian,Syria,Yemen (The Political Understanding of the Sunni-Shia Conflict)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9.03
52P 미리보기
수니파와 쉬아파의 분쟁에 대한 정치적 이해(시리아와 예멘 사태를 중심으로)Sunni-Shia,Proxy Wars,Wahhabism,Saudi Arabia,Iran,Sectarian,Syria,Yemen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이슬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Muslim-Christian Encounter / 12권 / 1호 / 67 ~ 118페이지
    · 저자명 : 서동찬

    초록

    이슬람의 역사 속에서 수니파와 쉬아파 갈등은 현대적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역사는 해석된 사실이기 때문에 현재를 투영한 과거의 해석이 역사를 구성하는 것이다. 수니파와 쉬아파의 분쟁이 시리아와 예멘에서 수많은 사망자와 난민을 초래하는 비극적 양상으로 나타나고 두 종파의 대표 국가인 사우디 아라비아와 이란이 대리전의 성격을 띄며 국지적 분쟁에서 충돌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재의 종파적 충돌의 관점으로 이슬람 역사의 종파적 분기점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종파적 분쟁은 종교의 문제라기 보다 정치적 갈등의 맥락 속에 서 파괴력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슬람은 처음부터 수니파가 주류였고 쉬아파는 갈등의 축이 되기엔 세력이 그만큼 강하지 않았다. 수니파 이슬람 왕조들을 전복하고자 했던 정치 세력들이 국가 건립에 성공한 파티마 왕조, 부와이 왕조 그리고 사파비드 왕조 등이 쉬아파 계열의 이슬람 국가에 포함되지만, 이러한 왕조들의 등장은 쉬아 종파 운동의 결과라고 보다는 정치적으로 해석되고 활성화된 종파 운동으로 봐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니-쉬아 종파 분쟁의 단초가 되는 역사적 국면들을 찾아내고 분석했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와하비즘이라는 원리주의적 수니파 이슬람을 이데올로기로 하여 정치 권력인 사우드 왕가와 결합하면서 국가형성을 이룩한 경우이다. 반대로 1979년 호메이니가 주도한 이란 이슬람 혁명은 쉬아 이슬람을 국가 이데올로기로 전면에 내세우며 반서구주의와 반시온주의 중심의 반체제 운동(anti-systemic movemement)의 결과로 등장했다. 1970년대 사우디 아라비아는 석유를 무기화 함으로 막대한 오일머니를 확보하면서 지역 강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었고, 와하비즘을 세계로 확산함으로 국가의 지정학적 이익을 전체 이슬람 세계로 확대하고자 한다. 1970년 대의 이란은 막대한 석유 자원을 갖고도 서구 제국주의의 침탈과 타락한 왕정 그리고 서구적 이익의 발톱으로 전락한 주변 국가들에 때문에 낙후된 상태에 있었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고자 이란의 호메이니는 쉬아 이슬람의 정신에 따라 부패하고 불의한 세속 문명을 혁파하고 이슬람의 영구 혁명을 성공시키고자 했다. 당시 이란으로서는 이라크의 쉬아파 대중,시리아의 아사드 쉬아파 지배세력,그리고 레바논의 쉬아파 소수 집단이 쉽게 동맹관계를 맺을 수 있는 상대로 주목되었고, 사우디 아라비아는 이러한 쉬아 종파의 연대 움직임을 위협과 도전으로 받아들였다. 이렇게 하여 수니-쉬아 종파적 갈등은 개별 국가를 넘어 지역적 규모로 확산했고, 대리전의 성격을 띄기 시작했다. 2003년 미군의 이라크 침공은 이라크의 쉬아파 세력의 고삐를 수니파의 억제 상태에서 풀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고 이는 이란의 지역 내 영향력이 팽창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여기에다 이슬람 국제운동이 확산하면서 알카에다와 같은 준국가적인 무장 네크워크가 국가를 초월하여 그 세력을 구축하였고 이는 미소 냉전 이후에 따른 글로벌 신냉전으로 전개 되었다. 2008년 미국의 금융 위기는 세계정치와 세력의 균형을 흔들었다. 그동안 억제 되었던 반권위주의 민주화 운동이 아랍의 봄으로 분출했고, 시리아와 예멘과 같이 종파적 종족적 세력 관계가 복잡한 지역에서는 고삐 풀린 대량 살상의 내전으로 분출했다.
    종파적 분쟁과 갈등의 중심에는 이란-사우디 아라비아의 대리전이 작동했고, 그러한 종파적 충돌의 무대 밖에는 미국-러시아-중국과 같은 강대국들이 헤게모니 경쟁이 움직였다.그리하여 종파적 모순을 안고 있는 예멘과 시리아 같은 작은 나라는 비극의 현대사 속에 빠져들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파갈등 즉 이란과 사우디 아라비아의 대리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고, 시리아의 경우를 비교의 기준으로 삼아 예멘의 종파 분쟁의 해결 가능성을 모색했다. 결국 평화체제 수립을 위한 가장 단순하고 쉽고 기초적인 해법은 민주적 국가 건설이라고 볼 수 있다. 시리아와 예멘은 민주적 절차에 따라 정상적인 국가를 재건해야 한다.종파적 차이를 내포하고 있지만 차이가 차별이나 억압이 아니라 신뢰와 다양성 존중으로 성숙하게 인정되는 민주질서를 창출해야 한다. 이것만이 외부의 헤게모니 세력이 분리 통치의 방식으로 개별 국가의 종파적 차이를 파국적 분쟁으로 몰아가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주변 강대국들이 종파적 차이를 이용하여 대리전으로 개입하여 국가를 파괴하고 그 분쟁으로 이득을 취하는 통로를 틀어막는 길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Sunni-Shia conflict can be defined a modern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Islam. History is an interpreted fact, so an interpretation of the past is based on projecting the present into the history. The Sunni-Shia conflict is causing especially fatal consequences now in Syria and Yemen, leading to numerous deaths and refugees. Saudi Arabia and Iran, the two leading leaders of Sunni-Shia, are driving Syria and Yemen into the flames of their proxy war. Thus, in other words, sectarian conflict is more destructive in the context of political conflict than in religious contexts. Islam was mainly Sunni from the beginning, and Shia was not as strong as it was to be an axis of conflict. Although the political forces that tried to overthrow the Sunni Muslim dynasties used Shi'ite ideology for the successful founding of the new Muslim kingdoms such as Fatimid Caliphate (909–1171 CE),Buyid dynasty (934–1062 CE),Safavid dynasty (1501–1736 CE),the emergence of these dynasties should be seen as a politically interpreted and activated sectarian movement rather than as the result of the Shi'a sectarian movement.
    This study works for the analysis of the Sunni-Shia sectarian conflict. Saudi Arabia achieved national formation by combining the fundamentalist Sunni Islam of Wahhabism with the political power of the Saudi royal family. In contrast, the 1979 Islamic Revolution in Iran led by Khomeini emerged as the result of an anti-Western and anti-systematic movement, with Shia Islam at the forefront as a national ideology. In the 1970s, Saudi Arabia was able to become a regional power by securing huge oil money by weaponizing oil, and by spreading Wahhabism around the world, it hopes to expand the country's geopolitical interests to the entire Muslim world. Iran in the 1970s was in a state of backwardness due to the decadence of Western imperialism, the depraved monarchy and neighboring countries that had fallen into the claws of Western interests. To break this reality, Iran's Khomeini sought to revolutionize corrupt and unjust secular civi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Shia Islam and to succeed in the permanent revolution of Islam For Iran at that time, Iraq's Shi'a people, Syria's Assad Shia ruling forces and Lebanon's Shi'ite minority groups were noted for their ease of forming alliances, and Saudi Arabia accepted this kind of Shi'ite movement as a threat and challenge. Thus, the Sunni-Shia sectarian conflicts spread beyond individual countries to regional scale, and began to take on the character of proxy warfare. The 2003 U.S. invasion of Iraq resulted in the removal of Iraq's Shi'ites from a Sunni crackdown, resulting in the expansion of Iran's regional influence. In addition, with the spread of the Islamic international movement, quasi-state armed networks such as al-Qaida have transcended the country and built it into a global new cold war following the U.S. Cold War. The 2008 U.S. financial crisis has shaken the balance between world politics and power. Anti-authoritarian democratic movements that had been suppressed have erupted into the Arab Spring, and in areas where sectarian tribal power relations are complex, such as Syria and Yemen, have erupted into civil war of mass destruction. At the center of sectarian conflict and conflict was Iran-Saudi Arabia's proxy war, and outside the stage of such sectarian conflict,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was waged by big powers like the United States-Russia-China.Thus small countries such as Yemen and Syria, which have sectarian contradictions, have fallen into the modern history of tragedy.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these sectarian conflicts, namely Iran and Saudi Arabia's proxy warfare, and based on the case of Syria as a criterion of comparison, sought the way of possible solutions for the sectarian conflict in Yemen. In the end, the simplest, easiest, and most basic solution for establishing a peace regime is the construction of a democratic state. Syria and Yemen should rebuild normal states in accordance with democratic procedures.Although it implies sectarian differences, it should create a democratic order in which differences are recognized maturely by respect for trust and diversity, not by discrimination or oppression. This is the only way to prevent outside hegemonic forces from driving sectarian differences in individual countries into a fractious conflict in the form of divide-and-rule. It will be a way for neighboring powers not to use sectarian differences and not to intervene in proxy warfare, destroying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