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계번역의 일한번역 양상 비교 ―술어비출현문과 동사술어문의 문체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Japanese-Korean Machine Translation: Focusing on Sentences Without Predicates and the Styles of Verb Predicate Sentenc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4.11
17P 미리보기
기계번역의 일한번역 양상 비교 ―술어비출현문과 동사술어문의 문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文化學報 / 103호 / 313 ~ 329페이지
    · 저자명 : 김정민

    초록

    本稿では日本の家電製品の情報伝達文を対象に、3種の機械翻訳(Google、Papago、DeepL)による日-韓翻訳の結果を比較分析した。具体的には、日本語の原文に生起した「述語非出現文」と動詞述語文の文体(普通体/丁寧体)に着目して、これらが韓国語ではどのように訳されているか、その特徴を考察した。その結果は以下の通りである。 (I)述語非出現文の調査結果 Googleはほぼ原文に沿った直訳を行い、Papagoは一部述語を補完した翻訳を提示していたが、その数は非常 に限られていた。一方、DeepLは日本語の原文には現れていない述語を推論し、文脈に適した韓国語の述語を補完した翻訳例が最も多く見られた。 (II)動詞述語文の文体の調査結果 普通体の場合、3種の翻訳機はいずれも韓国語では「해라」体で翻訳する傾向が見られた。一方、丁寧体に関してはGoogleとPapagoは「합쇼」体を使用していたが、DeepeLは「합쇼」体と「해라」体が混在した翻訳文を産出していた。 本稿では日-韓翻訳に限定した調査を行ったため、今後は翻訳の方向を変えて韓-日翻訳についても分析していき、本稿で得られた研究結果を検証していく必要がある。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ese-Korean translation results for descriptions of a Japanese electronic product using the three machine translation systems of Google, Papago, and DeepL. In particular, the analysis focused on "sentences without predicates" and the styles of "verb predicate sentences" present in the Japanese source text. The characteristics of how these sentence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were also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Findings on Sentences without a Predica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Google predominantly produced translations that closely adhered to the original text. Papago, in contrast, provided translations that included some supplementation of predicates, although these instances were notably limited. In comparison to the other two, DeepL demonstrated the highest tendency to infer and add predicates that were absent from the original text, supplying contextually appropriate Korean equivalents.
    (II) Findings on Verb Predicate Sentence Styles For informal forms, all three translation systems exhibited a tendency to translate into the "해라" form in Korean. Conversely, for formal forms, both Google and Papago employed the "합쇼" form, while DeepL generated translations that exhibited a mixture of the "합쇼" and "해라" f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文化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