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남 세습무당굿에서 나타나는 무가의 즉흥음악성 - 진금순‧이장단의 <치국잡이> 무가를 중심으로 (The Improvisation of Shamanic Song in the Hereditary Shamanic Ritual in Jeollanam-do − In Case of Shaman Song Chi­-guk-­jab-­i by Jin Geum­-soon and Lee Jang-­da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2.08
43P 미리보기
전남 세습무당굿에서 나타나는 무가의 즉흥음악성 - 진금순‧이장단의 &lt;치국잡이&gt; 무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45호 / 93 ~ 135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이 글에서는 현재 광주․전남지역에서 무당굿 연행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 세습무계의 진금순과 이장단 두 무녀를 중심으로 그들의 굿을 관찰하고 이들이 무당굿에서 부르는 <치국잡이>에 드러난 즉흥 음악성의 특징을 밝히고 두 무녀의 개별적 즉흥 양식을 고찰하였다.
    진금순 무녀는 ‘시작구’․‘단락의 종지구’․‘사설의 댓구를 이루는 악구’는 고정선율로 배치하여 즉흥을 하는 동안 일정한 틀로 사용하며 동일한 사설을 각각 다른 한배의 장단과 전혀 다른 선율로 전개하는 즉흥을 보여준다.
    이장단 무녀는 대부분의 무가 선율을 유사한 선율로 부르기에 이미 알고 있는 선율을 약간씩 변주하며 사설을 올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악구와 악구를 연결할 때는 전반부에 사설을 얹고 마지막 음절은 하향선율의 1자다음식 형태화된 악구를 변주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대부분의 선율을 유사선율로 부르는 이장단 무녀의 즉흥음악성은 진금순 무녀와 비교해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두 무녀가 부른 무가에서 나타나는 즉흥 양상의 공통점은 육자배기토리의 사용과 2소박 4박 안당장단의 공유, 그리고 ‘시작구’ 및 ‘사설단락의 종지구’를 유사한 선율로 고정시키며 즉흥하는 데에 있어서 일정한 틀로 사용하는 점이며, 사설을 악구로 연결하는 방식과 사설 배자방식 및 한배가 다른 장단으로 표현하는 즉흥방식 등은 차이가 있었다. 진금순 무녀는 한 싯구를 한 장단으로 올려 부르기에 무가 선율진행이 다소 단순한 편이지만, 이장단 무녀에 비해 유사선율의 비율이 적고, 동일한 사설을 한 배가 다른 장단과 새로운 선율로 부르는 즉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장단 무녀는 한 싯구를 여러 장단에 얹어 긴 호흡으로 선율화하는 리듬감각을 드러내고 있으나 자신이 즐겨 사용하는 선율형을 변주방식으로 엮어 나간다.
    두 무녀가 활동하고 있는 21세기는 제의 장소가 굿을 의뢰하는 가족들의 집과 마당이 아닌 무녀의 연고가 있는 굿당이나 축제나 공연 현장으로 바꾸어져 연행환경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때 연행하는 음악적 표현도 즉흥적인 외부적 요소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wo shamans Jin Geum-soon and Lee Jang-dan, who are actively performing among shamans in the Jeonnam region, which are the basis of improvised music, and observes their rituals, and the improvisational musicality revealed in Chi-guk-jab-i sung by these sham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hamans and to examine the individual improvisation styles of the two shamans.
    Jin Geum-sun's individual performance style is that she uses a stylized pattern to connect phrases. The phrases that make up the opening phrase, the ending section, and the main phrase of the lyrics are used as a constant frame during improvisation by placing a fixed melody, and in the rest of the section, the b melody type and the ending section c emphasizing the central notethat you use frequently. Melodies are weaved through variations, and it shows improvisation, expressing the same lyrics in different rhythms and melodies.
    The individual performance style of Lee Jang-dan shaman is that most of the shamanic song melodies are similar melodie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yrics is published with slight variations on previously known melodies. When connecting a phrase to a phrase, it is revealed that the lyrics are placed in the first half and the last syllable is a variation of a phrase in the form of a one-letter style with a downward melody. The commonality of the improvisational aspect of the two shamans is that they do not sing a new melody but sing a melodic form through variations.
    The actual results of the individual improvisation patterns studied through the shamanic song Chi-guk-jab-i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researcher. Jin Geum-soon uses a certain type of frame that connects the lyrics and phrases, and calls the repeated phrases and melodies slightly differently, so it's more like a variation rather than a pure improvisation. Lee Jang-dan has many repetitions of similar melodies, an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s pure improvisation, like Jin Geum-soon, only showing variations of similar melodies.
    In the 21st century, when two shamans are active, it is difficult to find Jeju who want a ritual, and the place of the ritual is as pure as before. Because there is no change in the performance environment, the musical expression performed at this time is also thought to be due to the reduction of improvised external factors.
    Although the performance time is different, it uses a variety of affixes that make it impossible to find a certain rule, and while freely using a wide range, it starts from a high note and seems to go down in sequence, while a curved melody and the characteristic of leaping at the end of the melody are seen, and it is actively used. The improvisation of Kim Dae-rye, the master of martial arts, who always contrasts with the long-drawn notes and melodic harmonies, was presented as a sample of the improvisational aspect that Jin Geum-soon and Lee Jang-dan shaman should expand and develop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