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대 열녀 담론의 향방: 독립운동가 아내의 ‘순종(殉終)’과 그 맥락 (The Direction of the Discourse of Virtuous Wiv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acrificial Suicide” of the Wife of an Independence Fighter and Its Contex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2.12
36P 미리보기
일제시대 열녀 담론의 향방: 독립운동가 아내의 ‘순종(殉終)’과 그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8호 / 413 ~ 448페이지
    · 저자명 : 이상경

    초록

    이 논문은 독립운동을 하던 남편 현정건(玄鼎健)이 죽은 지 40일 만에 뒤따라 음독자살한 윤덕경(尹德卿)의 삶과 그녀가 남긴 유서, 이 사건에 대한 당대인의 보도 및 논평 등을 분석하여 일제시대 상황에서 ‘열녀’와 ‘순종(殉終)’의의미 맥락을 살핀 것이다.
    상층 양반집안의 딸로 태어나 현정건과 가문 결혼을 한 윤덕경은 실제로 남편과 결혼생활을 하지 못했다. 남편은 곧바로 집을 나가 독립운동에 투신했고그 기간 동안에는 기생 출신의 현계옥이란 기생과 애인이자 동지인 관계에 있었다. 초기에 윤덕경은 남편을 찾아 상해에 갔으나 남편은 윤덕경을 돌려 보내었고 돌아와서는 신식 교육을 받아 교사로 생활하기도 했다. 현정건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나온 후 윤덕경은 비로소 남편 곁에서 병수발을할 수 있었다. 그러나 6개월 뒤 현정건이 죽고 윤덕경은 뒤따라 ‘순종’했다. 그동안 현계옥과 현정건의 연애담을 전했던 유수한 신문 잡지는 이번에는 윤덕경의 죽음을 크게 보도했다.
    윤덕경이 살아 있는 동안 공적 담론 공간에서 현정건의 아내는 현계옥이었고 윤덕경이 죽음을 선택한 뒤에야 당시의 신문 잡지는 윤덕경이 현정건의 아내였음을 대서특필했다. 또한 당시 윤덕경의 죽음에 관심을 가졌던 민족주의자들은 윤덕경의 죽음은 이기주의에 지나지 않으며 그 열정으로 살아서 남편의 사업을 잇는 민족의 아내, 민족의 어머니가 되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는 역으로 윤덕경이 열녀도, 민족의 어머니도 아닌 존재로, 그런 공동체의 가치에 속하지 않는 자기 결정권을 행사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렇게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윤덕경은 공적 담론 공간에서 처음으로 현정건의 아내임을 인정받게 되었다는 점에서 윤덕경의 죽음은 ‘도리(道理)’에 내어 몰린 이전 시대의순종’과는 달리 자기의 감정에 충실한 ‘낭만적 사랑’의 한 형태인 ‘정사(情死)’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윤덕경의 ‘순종’과 그녀를 주인공으로 하는 열녀전은 이제 더 이상 열녀 담론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life and suicide note of Yun Deok-gyeong, who killed herself by taking poison 40 days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Jeong-geon Hyeon, an independence fighter,and contemporaries’ news coverage and commentaries on this incident to explore the semantic context of “virtuous wives”(yeollyeo) and “sacrificial suicide” (sunj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1910-1945).
    Born into a family of upper-class scholar-officials (yangban) and married to Jeong-geon Hyeon through an arrangement between the two families, Deok-gyeong Yun in fact was not able to lead a marital life with her husband. He immediately left home and immersed himself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during this period, was romantically involved and lived with Gye-ok Hyeon, a former professional female entertainer (gisaeng).
    Although Deok-gyeong Yun went to Shanghai in search of her husband in the early days, she was sent back to Korea, where she received modern, Westernized education and worked as a teacher at one time as well. It was only after Jeong-geon Hyeon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police, imprisoned, and released that Deok-gyeong Yun was able finally to be together, nursing him. However,Jeong-geon Hyeon died six months later, and she committed “sacrificial suicide.” Major newspapers and magazines that hitherto had reported the romance between Gye-ok Hyeon and Jeong-geon Hyeon now covered Deok-gyeong Yun’s death extensively.
    During Deok-gyeong Yun’s life, Gye-ok Hyeon was Jeong-geon Hyeon’s wife in the sphere of public discourse, and contemporary newspapers and magazines reported with ado that Deok-gyeong Yun had been Jeong-geon Hyeon’s wife only after Deok-gyeong Yun had chosen death. By thus “choosing” death, In that she was acknowledged as Jeong-geon Hyeon’s wife in the sphere of public discourse for the first time, Deok-gyeong Yun’s death can be seen as a “double suicide” (jeongsa), a form of “romantic love,” which is true to one’s own feelings, unlike the obedience of earlier times driven by “duty” (dori). In addition, nationalists who took an interest in Deok-gyeong Yun’s death at the time criticized her act as mere selfishness and argued that, with such passion, she should have lived on and become the wife and mother of the nation,continuing her husband’s work. This inversely signifies that Deok-gyeong Yun exercised self-determination neither as a virtuous wife nor as a mother of the nation but as a being outside such values of a community. It is thus that Deok-gyeong Yun’s “obedience” and tales of virtuous wives starring her came no longer to function as discourses of virtuous w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