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대순으로 살펴본 미장아빔의 이론과 구조 (Theory and Structure of Mise en Abyme in Chronological Order)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1.11
36P 미리보기
연대순으로 살펴본 미장아빔의 이론과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문화지평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반영과 재현 / 1권 / 2호 / 115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효원

    초록

    ‘이야기 속의 이야기’와 같은 문학적 기법으로 알려진 미장아빔은 2000년 초반 국내에 소개된 이래로 문학 외 다른 장르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2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미장아빔 이론이 부재하여 아직도 과거의 논의만을 재인용 하고 있다. 이에, 새로운 시각을 바탕으로 국외 문헌과 사례를 참고하여 연대순으로 미장아빔 이론을 살펴보고 이미지를 그려 한눈에 미장아빔 구조를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미장아빔 이론을 다양하지만 그 중 6개의 계보를 소개하였다. 미장아빔의 단편적인 아이디어를 일기에 적은 지드, 이를 토대로 용어를 창시한 매그니, 누보로망 작가인 모리세티와 리카르도, 논의를 대중화한 델렌바흐, 포스트모던 철학자 데리다와 들뢰즈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 허천과 볼프의 논의를 연대순으로 살펴본다. 미장아빔 이론은 예술적 동향에 맞춰 조금씩 변화한다. 형식을 중요시했던 모더니즘에서 미장아빔이 극중극처럼 틀을 강조했다면,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러 미장아빔은 자기반영성을 내세우며 형식에 대한 해체를 강조한 점은 무척 흥미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미장아빔 기법을 알고 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미장아빔 이론의 지평을 확장하길 기대해본다.

    영어초록

    Mise en abyme, known as a literary technique such as ‘Story in a Story,’ has been expanded and applied to other genres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the early 2000s. However, even after 20 years, no new theories have emerged, and only the past discussions are being cited. Therefore, based on a new perspective, the mise en abyme theory was examined in chronological order by referring to foreign literature and cases. And I drew an image to make it easier to recognize the structure of the mise en abyme. Although there are various theories of mise en abyme, six genealogies are introduced. Gide, who wrote down the fragmentary ideas of mise en abyme in his diary, Magny, who coined the term based on it, Morisette and Ricardou, Nouveau-Roman writers, Dällenbach, who popularized the discussion, the Postmodern philosophers Derrida and Deleuze, and Hetcheon and Wolf who presented new ideas Let’s look at the discussion in chronological order. mise en abyme theory changes little by little in line with artistic trends. In modernism, which emphasized form, mise en abyme emphasized the frame like play in the pla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ery interesting change for mise en abyme to deconstruct the form while emphasizing self-reflecxivity in Postmodernism.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horizon of plastering beam theory by knowing various plastering techniques and selectively applying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영과 재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