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박평형수 내 동물플랑크톤(>50um 생물) 분류를 위한 인공지능 적용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Classify Zooplankton(>50 µm) in Ballast Water)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9.05
11P 미리보기
선박평형수 내 동물플랑크톤(>50um 생물) 분류를 위한 인공지능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 22권 / 2호 / 114 ~ 124페이지
    · 저자명 : 황옥명, 황세선, 최규성, 박혜진, 권재형, 이광호

    초록

    국제해사기구(IMO) 에서는 해양 외래종 유입으로 인한 생태 및 경제적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2004년 선박평형수 및 침전물의 배출규제와 관리에 관한 협약을 채택하여 선박평형수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50㎛ 생물을 분류 및 판별하기 위한 영상 처리 기술(OpenCV)과 기계 학습 엔진(TensorFlow)을 접목하여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를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써 해당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2017년 3월에서 2018년 9월까지 이미지 수집 작업이 이루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2회에 걸쳐 기계학습을 진행하였다. 확보된 이미지는 1차시기에 29,032장, 2차 시기에 86,044장을 수집하였고, 인공 지능이 적용된 시스템의 평균 적중률은 각각 75.5%, 94.8%로 확인되었다. 2차 시기에 모든 분류군의 적중률이 90% 이상을 보였고, 전체적으로 정보량이 늘어남에 따라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인식률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인지된 변수들을 원활하게 통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stipulates that the transportation of ship’s ballast water among geographically different regions is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the marine environment. In the effort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IMO member state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2004(BWM convention 2004) was adapted to prevent ecological and economical damages caused by ship’s ballast water oper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a device which can classify and identify the organism bigger than 50㎛(≥50㎛) by combining technologies between image processing(OpenCV) and mechanical training engine(TensorFlow). Image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17 to September 2018. 29,032 images were obtained in the first period and 86,044 were obtained in the second period, and the accuracy rate for system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was 75.5% and 94.8%, respectively. In the second period, the accuracy rate of all Taxon showed more than 90%. As the overall learned information increased, the recognition rate for zooplankton appeared to be increasing, but it is necessity that the perceived variables should be controlled in the process of artificial intrlligence appl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