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댄스스포츠선수들의 무용학습경험이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Dancesport Player's Dance Learning Experience on the Performance)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4.01
19P 미리보기
댄스스포츠선수들의 무용학습경험이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과학회지 / 30권 / 4호 / 35 ~ 53페이지
    · 저자명 : 이희정, 조진희

    초록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무용학습경험이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한체육회 산하 단체인 대한댄스스포츠경기연맹의 서울시, 경기도 2개 지역에서 개최되는 프로․아마 댄스스포츠경기 6개 대회를 임의로 선정하여 대회에 참가한 경기연맹 소속의 프로, 아마추어, 학생부 선수들 총 328명을 표집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총 29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로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 선수들 대부분이 무용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성 인식이유는 표현력 향상과 유연성 향상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댄스스포츠 선수들이 선호하는 무용형태는 기타(째즈댄스, 방송댄스), 현대무용, 발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선수가 남자선수보다, 연령과 학력이 높은 선수집단일수록 무용학습을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경험한 무용학습 종류는 남녀 모두 발레가 가장 높고, 18세미만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기타무용학습의 경험이 많으며, 고졸과 대졸은 발레 경험이 많고 대졸이상은 현대무용 경험이 많으며 중졸이하는 기타무용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전공에 따른 무용학습 경험 유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학습경험 형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준과 선수활동경력에 따른 무용학습경험과 무용학습경험 형태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학습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기술능력과 안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조절과 집중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용학습 경험형태 중 한국무용을 경험한 집단보다 현대무용을 경험한 집단이 기술능력에 대한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nd establish the impact of dancesport players' dance learning experience on their performance. To solve the research issue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328 pro, amateur or student players on the Korean Federation of Dancesport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pro/amateur dancesport meetings of the Korean Federation of Dancesport, the Korean Amateur Athletic Association-affiliated organization were sampled and the total of 290 players were us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quire the real status of dancesport players' dance learning experience with the collected data,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nquir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performa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real status of dancesport players' dance learning awareness showed that most play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ance learning, and the reason recognizing the necessity was the improvement of expressiveness and flexibility. And the preferred dance forms by dancesport players are others followed by modern dance, and ballet. Second,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and form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and forms according to sex, age and academic background.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college graduate and over there are many players experienced in dance learning. For the forms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the more players experienced in modern dance while the lower one, the more players experienced in ballet or others. In terms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depending on major status in dance, dance learning experience of players majoring in dance is modern dance followed by ballet. Third,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and forms according to dancesport empir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or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depending on major, the majors, rated from highest to lowest, are latin dance, modern dance and 10 dance(10댄스). The 'form'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major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dance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level, rated from highest to lowest, are pro, amateur, and student. In terms of the dance learning experience form, pro and amateur experienced in ballet the most, while student experienced in others subjects the most.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depanding on player activity record showed that regarding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the longer activity record, the more experience in dance learning. Also dance learning experience forms of many players who have more than 6 year-activity career, rated from the highest to lowest, are modern dance, ballet and others while the forms of players under 5 year-activity record, rated from the highest to lowest, are others, modern dance and ballet. Fourt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dance learning experience showed that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dance learning experience have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a group without dance learning experience a group with dance learning experience showed higher technical skills and stability while physical control and concentration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dance learning experience form, players who experienced modern dance had better technical skills, the sub-variables of performances than players who experienced Korean traditional dance. By putt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development of new training methods, which understand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of dancesport players well, should be preceded to make dancesport players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win a medal in international matches for the enhancement of national prestige through dance learning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