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하수법상 지하수의 통합적 구축에 관한 법제와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Governance Management and Legislation of Groundwater Under the Groundwater Ac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3.03
26P 미리보기
지하수법상 지하수의 통합적 구축에 관한 법제와 정책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3권 / 1호 / 237 ~ 262페이지
    · 저자명 : 정우택, 이규호

    초록

    대체용수인 「지하수법」의 목적은 지하수의 효율적인 관리・보전・이용・개발과 적정한 지하수의 개발 및 이용을 도모하고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여 공공 복리증진에 이바지 하여야 한다(지하수법 제1조 제1항). 그리고 국가는 국민에게 양질의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고 종합적인 계획과 합리적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지하수법 제3조 제1항). 우리나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비상 대체용수의 개발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놓여 있다. 대체 수자원으로서 지하수의 통합적 관리 운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관련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운영체계가 형성되어야 하고 지하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국가가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추진하여야 한다. 지하수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이해관계자들이 지하수 관련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소통하여야 하여야 하며 통합적 지하수 유지・관리 체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관련 전문가, 환경단체, 민간사업자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지하수 관련 정보 시스템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상호 연계된 지하수 관리 운영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적 지하수 운영 체계를 구축하는 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지하수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량과 수질을 포함한 지하수의 개념과 통합적 관리를 위한 지하수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정립하고, 통합적 지하수 관리 체계 구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통합적 지하수 관리 운영체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으로 첫째, 지하수의 관련 법률과 업무 체계를 일원화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각 부・처간 개별 법령에 따라 지하수를 관리하고 있어, 체계적 관리와 자료의 통합·연계에 어려움이 있다. 둘째, 지하수 폐관정의 관리를 위하여 주민들과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패공은 노후 관정 및 폐관정과 더불어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오염물질 유입으로 인근 지역의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오염된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을 복원하는데 오랜 시일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불용공(不用孔)을 원상 복구하는 등 지하수의 개발에서 사후조치에 이르기까지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실패공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인력 및 예산이 부족한 시․군․구에서는 지역주민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준공검사를 비롯한 관할구역의 지하수 시설 관련 업무를 지원받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지하수 관리 재원의 확충과 활성화를 위해 지하수관리특별회계의 지하수이용부담금을 부과․징수하는 지자체에서는 지하수관리특별회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중앙부처 및 시․도는 운영의 적절성에 대한 관리․점검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지하수이용부담금의 활성화를 위해 지하수이용부담금 상한액 조정 및 부과・징수 대상을 확대하여야 한다. 넷째. 최적 대체 수자원 이용 계획 수립과 연계 활성화를 위해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빗물, 하수 및 해수담수화 등 대체수자원 관련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대체수자원 시설 활용을 위한 세부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물 분야 최 상위 법정계획인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 건전한 물 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방향 및 목표를 설정하고 유역물관리종합계획에서 이를 구체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하수의 국가 관측망 및 수질측정망의 체계적 통합운영을 위해 지하수의 수위 조사를 위한 국가 관측망과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측정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관련 자료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정책수립 과정에 활용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Groundwater Act, which is an alternative water, shall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by promoting the efficient management, preservation, use, and developme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and use of appropriate groundwater, and preventing groundwater pollution (Article 1 (1) of the Groundwater Act). In addition, the State shall efficiently manage and preserve high-quality groundwater to the people, and prepare comprehensive plans and rational policies (Article 3, Paragraph 1 of the Groundwater Act). In Korea, drough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nd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alternative water to prepare for drought is rapidly increasing. In order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 for groundwater as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 an operation system that can easily grasp groundwater-related information should be formed, and the state should actively review and promote it for efficient use of groundwater.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system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groundwater is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stakeholders share and communicate groundwater-related information. Therefore, since various problems are expected to arise in establishing an integrated groundwater oper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groundwater.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groundwater including water and water quality and the need to establish groundwater governance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to present problems and solutions to them. Therefor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integrated groundwater management operating system, first, the relevant laws and work systems of groundwater should be unified. Since Korea manages groundwater according to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between ministries and agencies,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and link systematic management and data. Second, cooperation with residents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waste wells. Failure balls are often left unattended along with old and abandoned wells, which are one of the main causes of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nearby areas due to the inflow of pollutants. Contaminated groundwater requires a long time and effort to restore water quality compared to surface water, so systematic management from groundwater development to follow-up measures such as restoring unused water. For the efficient treatment of failed bal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local residents and receive support for groundwater facilities in jurisdiction, including completion inspections. Third, in order to expand and revitalize groundwater management resources, local governments that impose and collect charges for groundwater use of the special groundwater management account are obligated to establish a special groundwater management account, and central ministries and cities and provinces should strengthen their management and insp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groundwater usage charge, the upper limit of the groundwater usage charge shall be adjusted and the subject of imposition and collection shall be expand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technologies related to alternative water resources such as rainwater, sewage, and seawater desalination for efficient use of limited water resources to establish and activate optimal alternative water resources. In addition,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Basic Plan, the highest legal plan in the water sector, shall establish basic directions and goals for establishing a sound water circulation system, and shall be embodied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watershed management.Fifth, for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the national observation network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of groundwater, the national observation network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for groundwater should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to accumulate relevant data and use the analysis results in the policy establishment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