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지미수의 자의성 - 학설과 판례의 자의성 이해구조 - - 중지의 동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단구조 - - 중지미수의 본질은 정말 자의성인가? - (Die Freiwilligkeit beim Rücktritt vom Versuch)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6.09
33P 미리보기
중지미수의 자의성 - 학설과 판례의 자의성 이해구조 - - 중지의 동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단구조 - - 중지미수의 본질은 정말 자의성인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정연구 / 26권 / 3호 / 255 ~ 287페이지
    · 저자명 : 이용식

    초록

    자의성을 둘러싼 논의에는 중지의 동기가 중심이 되고 있다. 물론 어떠한 행위에도동기는 있다. 그러나 동기는 다의적이다. 또 반드시 하나의 동기에 의하여 행위가 행해지는 것도 아니다. 문제는 여러 가지 다수의 동기 중에서 행위를 중지시킨 요인을 어떠한 기준으로 추출할 것인가이다. 자의성의 일상언어적 의미는 외부적으로 강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의성의 존부에 우선 문제가 되어야 할 것은 중지행위에로행위자를 강제하는 사정이 있는지 여부이다.
    다음으로 그러한 외부적 상황이 행위자의 인식을 통하여 중지행위를 강제했다고 판단되면 자의성이 부정되고, 강제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자의성이 긍정된다. 여기에서사용되는 것이 외부적 상황이 「일반적으로」 행위계속을 저지하는 강제적 요소가 될 수있는가 하는 척도이다. 예컨대 단순한 시간의 경과는 강제적 요소의 판단에 척도가 될수 없다. 이점에서 시사적인 것이 우리 판례에서 말하는 사회통념이다. 즉 일상생활상의 경험칙이라는 일반적 기준이다. 중지행위에로 행위자를 강제할 수 있는 외부적 상황인가는 통상적인 경험표준에 의하여 객관적으로 판단된다.
    우리 판례도 이러한 사회통념을 기준으로 하지만, 판례가 사용하는 객관적 기준은 추상적으로 강제될 수 있는 외부적 사정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자의성을 부정한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자의가 아니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행위자 자신에게도’ 그 강제가 기능하였다고 판단되어야 한다. 유혈을 보고 놀랐다는 사정이나 피해자가 애원하는 사정뿐만 아니라 발각될 위험이 있는 사태라고 하더라도 반드시 자의성을 부정하는 사정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사정이 일반적으로 자의성을 부정한다고 판단하고 더 이상의판단을 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판례는 자의성을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 중지행위의 자의성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경험에 비추어 일반적으로 강제가 될 수 있는성질을 가지고, 이에 더하여 추가로 실제로도 행위자 자신에게 어쩔 수 없었다고 평가되어야 한다. 중지행위의 자의성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경험에 비추어 일반적으로 강제가 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이에 더하여 추가로 실제로도 행위자 자신에게어쩔 수 없었다고 평가되어야 한다.
    이렇게 볼 때 요사이 유행하는 자의성에 대한 유형화작업은 그것이 무엇을 위한 유형화인지 관점을 갖지 않은 단순한 유형화이다. 그 결과는 원칙적 부정을 위한 유형화가되고 만다. 이는 받아들일 수 없다. 유형화작업의 시각은 예외적 부정(예외적 긍정)을위한 유형화여야만 한다.

    영어초록

    Bei der Freiwilligket läuft man auf eine Bewertung der Rücktrittsmotive hinaus.
    Wird der Täter zur Abstandnahme gezwungen, so lässt sich daran zweifeln, ob es seine Entscheidung ist. Ist festzustellen, dass der Täter sich aufgrund der Zwangslage bereits zur weiteren Tatausführung außerstande sieht, so liegt ein fehlgeschlagener Versuch vor. Der Rücktritt kommt mangels Entscheidungsmöglichkeit schon nicht in Betracht. In allen anderen Fällen verbleibt dem Täter ein -wenn auch geringer- Entscheidungsspielraum. Gerade in Zwangskonstellationen wird deutlich, dass der Abstandnahme des Täters eine Abwägung zwischen Deliktsvollendung und Rücktritt vorrangig. Die Verortung der Erwägung in die Auslegung des Freiwilligkeitskriteriums wäre sodann gleichbedeutend mit der Bewertung der Motivation des Täters. Es ist m.E. sachgerechter, diese nicht über ein Tatbestandsmerkmal anzuführen, sondern im Rahmen der Strafzumessung zu berücksichtigen.
    Die koreanische Lehre und Rechtsprechung stllen jedoch nicht auf den konktreten Täter ab, sondern darauf, unter solchen Umständen eine fiktive Vergleichsperson von einem Zwang auszugehen ist. Nach der gewöhnlichen Lebensauffassung ist zu bewerten, ob ein zwingener Grund zum Rücktritt vorliegt. Prinzipiell geht es um die anschaulichere Feststellung eines freien Willens. Da man Schwierigkeit hat, anhand der Vergleichsperson erfasst man den Sachverhalt. Damit gewinnt man eine Bewertung der vielen Rücktrittsmotiven.
    Aber die Freiwilligkeit ist ein subjektiv-individuelles Tatbestandsmerkmal. Es ist davon nicht auszugehen, dass der Täter dieselben grunlegenden Eigenschaften aufweist wie die fiktive Person. Die sujektive Seite ist eben nicht stereotyp. Die Besonderheit des subjektven Merkmalsist ist m.E. noch zu berücksichtig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