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중심주의는 동물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는가? (Cannot Anthropocentrism protect the interests of animal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3.09
27P 미리보기
인간중심주의는 동물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5권 / 3호 / 239 ~ 265페이지
    · 저자명 : 소병철

    초록

    오늘날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과 같은 응용윤리적 도전은 무수히 많은 동물의 고통과 죽음에 우리의 주의를 환기하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오랜 세월 동물을 먹고 입고 신어 왔던 사람들은 그러한 도전에 자극을 받아 인간만이 창조의 월계관이라는 인간중심주의적 선입관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게 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이제는 인간의 하찮은 이익을 위해 무수한 동물을 처참한 고통과 죽음으로 내몰던 기존의 관행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자기정당화의 부담을 지게 된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는 오직 인간만의 것이던 윤리공동체의 성원권을 인간 이외의 다른 동물에게도 부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널리 확산된 상황에 우리가 처해 있음을 함의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싱어의 ‘종차별주의’와 같은 술어가 강력히 시사하는 것처럼 인간과 인간 아닌 동물의 관계에 관한 윤리적 문제에서 이제는 기존의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이 더 이상 정당한 발언권을 행사할 수 없는 한 시대가 도래한 것일까? 나아가 그러한 관점에 기초한 종래의 윤리는 전혀 다른 관점과 전망에 입각한 모종의 ‘새로운 윤리’로 대체되어야 하는가? 논자는 이 글에서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시론적인 방식으로 제시해 보았다. 논자의 목표는 호모 사피엔스 종에의 소속 여부를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판단의 절대적 기준으로 삼지 않는, 온건하며 계몽된 종류의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을 옹호하는 것이다. 논자는 상이한 윤리적 의의를 지닌 인간중심주의의 두 형태, 즉 ‘편협한 인간중심주의’와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를 구별하고 후자를 옹호하는 방식으로 그러한 관점의 윤곽을 그려 보았다.

    영어초록

    Today, Peter Singer's theory of the so-called 'animal liberation' calls our attention to the pain and death of innumerable animals. In fact we have eaten and worn animals for a long time, but such a challenging theory leads us to critically examine our anthropocentric prejudice that we alone are the laurel crowns of the Creation. In this situation, people who support our current practice that throws innumerable animals into the bloody pain and death for the sake of human trivial interests might have to justify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in front of ethical challengers. And this means that the membership in our ethical community might not belong only to humans as before, but also to non-human animals. Then, how must we understand and accept this situation? As Singer's terminology 'speciesism' suggests, as for the problem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has our anthropocentric viewpoint completely lost its voice? Hence, must all the existing anthropocentric ethics be replaced by a totally different and new sort of ethics? In this paper, I answered these questions in a tentative way. My Purpose is to advocate a sound and enlightened form of anthropocentric viewpoint which doesn't regard whether an animal belongs to Homo sapiens or not as an absolute criterion of decision about its moral status. I outlined such an anthropocentric viewpoint by distinguishing two different sorts of anthropocentrism, 'narrow-minded one' and 'expansive one', and advocating the l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