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프로야구 리그의 관중 수 결정요인 분석 (Analyses on Determinants of Attracting Spectators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8
15P 미리보기
한국 프로야구 리그의 관중 수 결정요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 24권 / 4호 / 53 ~ 67페이지
    · 저자명 : 성상훈, 설수영

    초록

    이 연구는 국내 프로야구리그에서 전력균형을 비롯한 다양한 주요 변수들이 관중동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리그와 구단의 정책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리그 흥행 요인 분석과 관중동원을 위한 제언을 통해 각 구단들은 자생력을 확보하고 프로야구의 경쟁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 다루고 있는 전력균형지수는 제한된 경우에만 관중 수 증가에 유의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지수의 경우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1인당 실질국민소득은 총 관중 수의 증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입장권 가격과 인구는 프로야구 총 관중 수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였지만,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거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전력균형을 제고시키기 위한 제도(전면드래프트제도, 외국인선수제도)는 부분적으로 관중 수 증가에 유의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경제위기(1997~2002년)는 총 관중 수가 급감하는데 영향을 주었지만, 글로벌 경제위기(2008~2010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전력균형 제고 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고, 글로벌 금융위기의 임팩트는 아시아 경제위기만큼 크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야구 국가대표팀이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얻은 것은 관중동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일회성 이벤트의 효과가 시즌 내내 계속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key variables including competitive balance in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influence mobilization of spectators, and to help the league and teams make policy deci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were expected to help teams secure autonomy, promoted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baseball, and improved financial status. For the quantitative analyses, tim series data from 1982, the first year of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in Korea, to 2017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KBO), the Bank of Korea, the Bureau of Statistics of Korea, and Nielsen. SPSS 20.0 wa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competitive balance index,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vious studies, had significance only in limited cases.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significance was not proved on indexes that are traditionally most widely used. Second, real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had a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crease of the total number of spectato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nd economic theories, the price of admission fee and population were expected to affect the total number of spectators, but the results were only weakly supportive. Third, the systems to promote competitive balance such as opened draft and mercenary system were partially significant. Among dummy variables representing the time of economic crisis, the Asian financial crisis (1997-2002)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tators, bu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2008-2010) did not.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national team’s achievements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obilizing spectators. This implies that the effect of a one-time event did not last throughout the entire s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