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蘇齋 盧守愼의 詩文學 (A Poem Literature of Sojae No Soo-S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8.06
42P 미리보기
蘇齋 盧守愼의 詩文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16권 / 1호 / 111 ~ 152페이지
    · 저자명 : 조희창

    초록

    소재는 宦路에 들어선지 3년 만에 乙巳士禍에 연루되어 22년의 세월을 謫居地에서 보냈다. 그의 전반 생애가 본인의 삶의 의지와는 전혀 다른 정치적 外變으로 통한의 세월을 보내는 동안 오히려 척박하고 불우한 환경을 새로운 삶으로 승화시켜 불후의 문학과 철학을 정립시키는 지대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유배지에서 杜甫에 침잠되어 두보의 詩法을 얻었고 白光勳, 崔慶昌등과도 사우관계를 맺어 三唐派 출현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가 남긴 1,449수의 시중에는 유배지에서 창작된 시가 1,023首로 대부분에 속하여 유배시인으로 통한다.
    그의 시를 분석해보면 내용에 따라 ‘離別의 情恨과 至親에 대한 그리움’, ‘知己와의神交를 통한 삶의 위안’, ‘拘束된 自我와 학문에의 침잠’, ‘사물에 투영된 君子的 삶의 지혜’, ‘流配客의 고뇌와 憂國 憐憫의情’으로 요약된다.
    소재의 시풍을 대체로 ‘萬鈞之勢’와 같다고 평하며 ‘雄拔, 淵宏’ 하다고 말하고 있다. 解配 후에는 湖陰 鄭士龍, 芝川 黃廷彧 등과 함께 湖蘇芝로 지칭되어 조선후기 官人 文學을 최고조로 올려놓음으로서 ‘館閣三傑’로 칭송되었다.
    선조 조에는 宋詩, 특히 江西詩派를 배우려는 시적지향이 계속되는 가운데 道學詩가 활발하게 창작되던 시기이기도 하다. 한편 宋詩의 散文性, 技巧主義에 반발하여, 음악성과 서정성, 형상성을 회복하기 위한 詩的 지향으로 唐詩 운동이 일어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소재는 이의 향도적 역할을 했던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노수신 시의 특징은 人名, 地名, 官職名 등의 고유명사를 시어로 적극 활용하였고 俚語와 接續詞를 적절히 배치시켜 탁월한 시적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수사적 기교와 표현에서는 重義法과 反復法, 對話體 등을 적절히 구사하는 시적 기교를 확인 할 수 있다.
    소재는 유배지에서 「夙興夜寐箴解」 및 「人心道心辨,」,「執中說」 등을 저술하고 退溪 李滉, 河西 金麟厚, 一齋 李恒 등과 논변하였다. 이 논문들은 주자학과는 이질적인 心性論과 工夫論을 제기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당대와 후대의 사류들로부터 異端에 물든 학자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소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시문학과 함께 陽明學者로의 위상을 함께 살펴야한다. 또한 선조16년(1583)에 「改正大學」을 찬집하였는데 종가에서 보관하고 있는「蘇齋先生大學集錄」을 지칭하는 것이다.
    소재는 유배의 좌절을 초극하여 현실을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승화시켜 왕성한 창작력과 비장함으로 격조 높은 작품세계를 이루어 내었다. 性情을 주로 하는 唐詩風을 적극 수용하여 學杜의 지평을 열었고 세칭 館閣三傑로써 또는 湖蘇芝로써 조선 중기문학의 큰 획을 이룬 것이다.

    영어초록

    Sojae(蘇齋) spend twenty two years in a place of exile owing to the implication of ELSASAWHA(乙巳士禍) three years later, after getting into the government service.
    He left great achievements which worked out the immortal literature and philosophy by sublimating these poor and adverse circumstances in a new life while he spend the bitter time owing to the political disturbance, which was not definitely different with his own will of life. We can understand that he is such an exile-poetbecause there were 1,023 poems created in a place of exile among 1,449 poems of all that he left.
    According to contents by analyzing his poems, they can be classified by ‘the affection and lamentation of parting and the yearning of friends’, ‘the comfort of life by associating with an appreciative friend’, ‘the restricted ego and the deep consideration of literature’, ‘the wisdom of honorable life reflected things,’ and ‘the distress of exile and the affection of patriotism’.
    The special features of No Soo-sin’s poems are to make full use of a proper noun, which are the person`s name, the name of place, the name of occupation, etc, for the poetic diction, to get an excellent poetic-effect by arranging an appropriate slang word and conjunctionand to have a good command of the dialogic style of one of figures of speech[重意法] and one of hyperboles[反復法] for the rhetorical device and expression.
    Sojae accepted the reality as a destiny by conquering the frustration of exile and accomplished the meeting of his refined literary work with an energetically creative power and a will of adamant. By accepting Dangsipoong(唐詩風) which generally does a nature, he made an atmosphere of learning Du Bo(杜甫), and accomplished a big mark of the middle-century literature of Korea through the meeting of refined literary work. This may be why the world names him Kwankaksamgul(館閣三傑) or Hoesoji(湖蘇芝).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