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하수 공공성을 고려한 지하수 관리체계 개선방안 (Measures to improve the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publicity of the groundwate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9
33P 미리보기
지하수 공공성을 고려한 지하수 관리체계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과 정책 / 27권 / 275 ~ 307페이지
    · 저자명 : 한상운

    초록

    이 논문에서는 지하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하수 공개념이 개정 지하수법에서 도입됨에 따라 지하수 공개념의 의미를 토지공개념 등 유사 개념과 비교하여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토지소유권의 지하수 소유권 인정 여부와 지하수의 국공유화 가능성에 관한 민사법상의 법리논쟁을 검토하였다. 즉 지하수 공개념의 연장선에서 지하수 국공유화 또는 지하수의 사적 소유의 금지는 현행법상 도입된 것은 아니지만 정책결정권자의 판단에 따라 지하수법 등 관련법의 개정을 통하여 입법이 되더라도 위헌소지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지하수 공개념의 헌법적 근거로서 지하수가 사적 소유의 대상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현행법상 헌법 제23조 제2항의 재산권행사의 공공복리적합의무 규정을 그 근거로 들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적 소유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입장에서는 헌법 제120조를 근거로 제시할 수 있다. 판례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헌법재판소는 지하수 공개념을 인정하고 있지만 토지소유권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사적 소유의 대상여부에 관해서는 명확히 판시한 바 없다. 그러나 대법원 판례는 동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적 소유의 대상이 될 수 없고 동력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토지소유권에 종속된다고 보는 이원설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지하수 관리에 관한 미국, EU,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고 그 정책적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 다양하게 산재되어 있는 지하수 관련 법령의 내용과 현행 지하수법상의 개발이용·제한과 수질보전정책 및 관리실태를 검토하고 통합적 지하수 관리를 위한 법체계 정비 필요성 등 개선방안을 결론 부분에서 제안하였다. 즉 공적자원인 지하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첫째, 현재 다양한 유형의 지하수 이용을 위한 허가와 신고시설, 불용공 및 불법시설 등 지하수 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관리의 사각지대를 해소하여야 한다. 둘째, 지하수 사용량의 50%가 넘는 농어촌용수로서의 지하수 채취·개발 및 그 이용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물관리위원회를 통한 통합적 관리체계가 조속히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지하수 보전구역의 실효적 구역관리를 위하여 지하수보전구역 내 지하수 시설의 공공관리 전환, 수질검사 지원, 대체수자원 개발 공급 등 정책지원과 더불어 현재 2개소에 불과한 구역지정 확대를 하여야 한다. 넷째, 유역별 통합물관리의 일환으로 유역별 지하수 관리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유역위원회의 권한과 지하수법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하수가 빗물 등 대체 수자원이 아니라 주요수자원의 하나라는 정책결정권자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관련 기초자료 축적과 통계 D/B화, 전문인력과 예산을 확대하여 지하수 관리체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장기적으로 효율적 지하수관리를 위하여 지하수 관련 법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기후위기로 인한 물부족 문제가 심화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지하수를 포함한 모든 물에 대한 사적 소유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공적 자원으로서 지하수를 포함한 물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장기적 비전을 마련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groundwater public concept as the groundwater public concept was introduced under the revised Groundwater Act, it was compared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the land public concept, and legal disputes under the Civil Act regarding whether to recognize the ownership of groundwater and the possibility of making groundwater publicly available were reviewed. As an extension of the groundwater public concept, the prohibition of public ownership of groundwater or private ownership of groundwater has not yet been introduced under the current law, but according to the decision makers of policy maker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no unconstitutionality even if introduced in related laws such as the Groundwater Act. And as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concept of groundwater disclosure, the provision of the duty to conform to public welfare for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under Article 23,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under the current law, which regards groundwater as a private property in terms of legal logic, can be cited as the basis. However, from the standpoint that it cannot be subject to private ownership,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presented on the basis of Article 120 of the Constitution.
    In relation to precedent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so far recognized the concept of groundwater disclosure, but has not made a clear ruling on the relationship with land ownership.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precedent takes the dualist position that the scope of land ownership var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ower plant is used. Cases of the US, EU, UK, Germany, France, and Japan regarding groundwater management and utilization are review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In addition, we briefly reviewed the contents of various existing groundwater-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development, use, and restriction of the current groundwater law, and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policy and management status,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the need to reorganize the legal system for integrated groundwater management in the conclusion section. In other word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groundwater as a public resource, first,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blind spots in management by conducting a complete investigation of groundwater facilities such as permits and reporting facilities for the use of various types of groundwater, and unused and illegal facilities. Secon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Water Management Committee needs to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rationally manage the extraction and development of groundwater as water f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d. Third, for the effective district management of the groundwater conservation area,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signation of the currently only two areas along with policy support such as the conversion of groundwater facilities in the groundwater conservation area to public management, support for water quality inspection, and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alternative water resour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he authority of the basin committee and the groundwater law in order to establish a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for basin as part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by basin. Fifth,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groundwater is one of the major water resources rather than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 such as rainwater. Sixth, for efficient groundwater management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ystematic legal status of groundwater-related laws. Lastly, as an innovative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ll water, including groundwate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prohibiting the ownership of all water in principle and preparing a long-term vision fo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as a public resour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과 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