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의 <四部手圈> 小考 (A Study on the of King Jeongjo (正祖))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0.06
29P 미리보기
正祖의 &lt;四部手圈&gt;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5호 / 11 ~ 39페이지
    · 저자명 : 조동영

    초록

    이 논문은 好學君主로 定評이 나 있는 正祖의 『四部手圈』을 고찰함으로써 이 책에 담겨져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논문이다. 또한 一國을 統治했던 帝王의 손에 의하여 편찬된 이 책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이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참고로 『四部手圈』은 정조가 世孫시절부터 줄곧 읽어 왔던 글 중에서 핵심이 되는 句節을 직접 節錄하여 經․史․子․集으로 구분해서 엮어놓은 책이다.
    그 결과 經部에서 三禮를 선정한 이유는, 조정에서나 재야에서 모두가 겸양하는 분위기를 알고 실천토록 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그 방안으로는 經으로 인하여 의미를 탐구하고[因經究義], 탐구한 의미를 통하여 경으로 돌아갈 것[因義反經]을 강조하였다. 또한 史部와 子部와 集部에서는 聖賢을 목표로 삼되 근본을 수립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조는 또 『四部手圈』에 대하여, 책을 잘 읽지 않는 당시의 풍습을 감안하여 그 치유책을 마련코자 이 책을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稗官雜記와 같은 문체로부터 벗어나 醇厚한 文風으로의 回歸를 염두에 두었으며, 文風과 國政을 아우르고 道統淵源까지 자신이 짊어지겠다는 목적하에서 이 책이 완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일반 학자가 아닌 一國의 帝王인 신분으로 자신의 학문세계를 集大成하여 孔․孟․程․朱로 이어지는 大一統의 큰 맥을 형성하고자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正祖가 살았던 당시로부터 5백여 년전 宋나라의 寒泉精舍에서 朱熹와 呂祖謙의 손에 의하여 『近思錄』이 완성되었고, 『근사록』이 편찬된 지 5백여 년이 지난 朝鮮朝 王室에서 帝王인 정조의 손에 의하여 『四部手圈』이 편찬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왜냐하면 정조가 추구해왔던 博에서 約으로, 約에서 集大成으로의 成果란, 곧 平生學業의 결집인 大一統의 완성단계에 거의 도달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이 갖는 의미는 正祖를 한 층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또 다른 하나의 단초를 마련하고자하는 데에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find out what King Jeongjo (正祖), having a reputation of being a studious king, wanted to say through his book, 『Sa -busugwon (四部手圈)』 and what lessons we could learn from the book written by the sovereign who had ruled one country. 『Sabusugwon』 is a book composed of four parts, such as Gyeong(經; classics), Sa(史; history), Ja(子) and Jip(集; collection) and each of them includes many kernels of the classics which King Jeongjo had extracted by himself from the books he had read since he was a crown prince.
    In the Samrye (三禮; three books covering the rites) of Gyeong part, he emphasized that both government officials and common people should know the virtue of humbleness and practice it. As the measure for it, he suggested 'pursuing the meaning through Gyeong [因經究義]' and 'returning to Gyeong through the meaning [因義反經]'. In Sa and Ja part, he stressed that men had to set their sights on becoming saints and establish the fundamentals.
    King Jeongjo said he compiled 『Sabusugwon』, considering those days practices of not reading books, to prepare a cure. However, he was found to have ultimately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literary style of Paegwan japgi (稗官雜記, miscellany from a story-teller) and return to kindhearted literary spirit, while preserving literary traits, national politics and even basic current of Confucianism. It means that he, as not a simple scholar but a sovereign ruler of a nation, tried to compile his academic world into one book then, through it, set up a united system handing down from Congzi and Mengzi (孔․孟) to Chengzi and Zhuzi (程․朱).
    This paper gave attention to the fact that 『Guensarok (近思錄;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was completed by Zhuxi (朱熹) and Luzuqian (呂祖謙) at Hancheonjeongsa (寒泉精舍. arbor building) in Chinese Song (宋) dynasty before 500 or more years ago from King Jeongjo period and 『Sabusugwon』 was compiled by King Jeongjo, the sovereign of Joseon dynasty. It is because the outcome of King Jeongjo's pursuit, that is, 'from erudition (博) to summation (約)' and 'from summation (約) to compilation', means that his lifelong study nearly arrived at the level of the big unity.
    It is believed that to examine 『Sabusugwon』 becomes another method to extensively understand King Jeong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