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션쇼에 나타난 해체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의상,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features of deconstruction in fashion show - based on clothes, make-up and hair style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8.11
14P 미리보기
패션쇼에 나타난 해체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의상,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1호 / 41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김현주

    초록

    패션은 과거에는 의상만, 그 이후는 액세서리까지의 개념까지 언급되었으나 최근 토탈 패션의 개념은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까지 확대되어, 전체적인 패션을 바라보고 정립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트렌디한 패션의 흐름과 총체적인 美의 개념을 잘 볼 수 있는 패션쇼에 나타난 의상과 액세서리,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를 하여 전체적인 패션을 정리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구 범위는 이론적 배경으로 20세기 후반 이후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시점부터 현재까지 꾸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해체주의로 할 것이며, 실증적인 작품 분석은 최근 5년간 패션쇼 S/S, F/W를 컬렉션 지를 통해 분석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해체주의의 개념과 디자인 특성을 살펴본 뒤, 의상, 액세서리,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에서 나타난 해체주의적 특성을 조형 예술의 특성인 형태(silhouette), 선(line), 색채(color), 소재/질감(texture)으로 구분해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패션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영어초록

    Originally, fashion was defined purely in terms of clothes. Over time, accessories, make-up and hair styling became increasingly prominent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approach in the way we conceptualize fashion and beauty, such that we can examine and judge current trends meaningfully via thorough research.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follows the deconstruction model, prevalent in the latter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We will carefully examine both the spring/summer and fall/winter fashion shows over the last 5 years in order to support this theoretical analysis. We will first explore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ism through the features of design. Next, we will categorize the 4 key elements present in all forms of fashion: silhouette, line, color and texture, present in all aspects of fashion (clothes, make-up, hairstyling and accessories). We will conclude with an analysis of fashion in general. ‘Total Fashion’ is to strive towards various harmonious images, by applying techniques and methods in trimming, dressing up, and use of accessories, in a manner which reflects current trends eff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