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현황과 변이양상 연구 (The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8
33P 미리보기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현황과 변이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9호 / 133 ~ 165페이지
    · 저자명 : 김구한

    초록

    이 글은 울산지역에서 전승되는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울산 쇠부리소리는 울산 한실과 도덕골, 두동, 병영 등 모두 울산지방에서 채록된 자료라는데 그 일차적 의의가 있다. 이 점은 쇠부리소리가 원형과 전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울산 고유의 소리라는 지역적 정체성과 연결된다. 울산이 쇠부리의 도시인 동시에 쇠부리소리의 본향이 될 수 있는 근거이다.
    쇠부리소리 사설의 특징은 한실쇠부리소리와 도덕골쇠부리소리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한실의 최재만은 구비시인으로서 훌륭한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고 보여 진다. 그는 공식적 구조 원리에 충실한 구연자이자 불매소리의 ‘원사설(원형)’을 가장 잘 갖춘 구연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재만의 쇠부리불매소리는 노동의 순수함과 신성함을 느끼게 하는 사설과 일치된 행동으로 일의 힘듦을 단합된 모습으로 승화시키는 곡조로 결합되어 노동요로서 미적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도덕골 김달오의 불매소리는 공식구를 바탕으로 하되, 임기응변적 구연에 능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울산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 양상은 ‘기본형’ ‘변주형’, ‘종합형’으로 나누었다. ‘기본형’은 한실 최재만의 쇠부리소리에서 출발했으며, ‘변주형’은 도덕골 김달오의 쇠부리소리와 울산 지방에서 전승되던 쇠부리금줄소리가 어울려 울산 쇠부리놀이가 탄생한 것이다. ‘종합형’은 기존의 소리에다 달천지역과 가까운 병영지역에서 불리던 아기어르는불매소리와 성냥간불매소리를 채록하여 지금의 쇠부리 소리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울산 쇠부리소리는 이와 같이 끝없는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거치면 울산 지역을 대표하는 민요로 그 정체성을 확보하며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d an approach of oral literature as the research subject of Soeburi song in Ulsan. First, UlsanSoeburi song is meaningful as materials collected in Ulsan such as Hansil, Dodoekgol, Dudong and Byeongueong. In addition, it is related to regional identity as song native to Ulsan, which has prototype and archetype. And it shows that Ulsan is the city as well as hometown of Soeburi(meaning ' iron manufacture').
    The characteristics of lyrics are different between Hansil Soeburi song and Dodeokgol Soeburi song. Jeiman Choi is considered as a good oral literature poet, because he is a performer who is faithful in official structural principal and in original lyrics(archetype) of Soeburi song. Therefore, SoeburiBulmei song of Jeiman Choi signifies aesthetic meaning, having lyrics which make to feel labor's purity and sacred and melody which overcomes labor's difficulty through united action. On the other hand, SoeburiBulmei song of Dalo Kim in Doseokgol shows that he is a extemporaneous performer even though he performs based on official structural principal.
    In this paper,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are divided into basic type, frequent shift type and overall type. 'Basic type' originates from Jeiman Choi's Soeburi song in Hansil. 'Frequent shift type' was created by combining SoeburiBulmei song of Dalo Kim in Doseokgol and SoeburiGeumjul song in Ulsan. 'Overall type' is current Soeburi song, which was created by adding Bulmei song for lulling a baby in Byeongueong near Dalcheon region and Seoknyanggan(smithy) Bulmei song. UlsanSoeburi song is being passed down continuously, strengthening the identity as a representative folk song in Ulsan through endless process of transmission and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