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인식정수(再認識精髓, Pratyabhijñahṛdayam)』의 수행론 연구 -제 18송의 수행법들 중 분별의 해소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ractice Theory in Pratyabhijñahṛdayam -Focused on the Vikalpa Kṣaya among Practice Methods in the 18th Sūtr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5
22P 미리보기
『재인식정수(再認識精髓, Pratyabhijñahṛdayam)』의 수행론 연구 -제 18송의 수행법들 중 분별의 해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5권 / 1호 / 31 ~ 52페이지
    · 저자명 : 심준보

    초록

    본 연구는 재인식정수(再認識精髓, Pratyabhijñāhṛdayam)』(이하 PH)의 제 18송의 수행법(upāya)들 중에서 분별의 해소(vikalpa-kṣaya)만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서 분별의 해소라는 방편이 재인식론에서 가지는 위치, 그리고 불이론 쉬바파에서 수행의 목적을 이해하고, 이 분별의 해소 수행법의 구체적 행법과 이를 통해 무엇을 얻게 되는지 알아본다.
    이 수행법은 재인식론의 핵심을 드러낸 재인식론의 최고이자 유일한 수행법이다. 불이론 쉬바파는 아비나바굽타가 쉬바교의 다양한 분파들의 사상들을 재인식론의 형이상학을 필두로 진동설의 철학, 그리고 트리카와 크라마의 사상들을 트리카의 교설 체계를 기본으로 하여 불이론의 관점에서 통합한 교설 체계이다. 이 사상에서 수행의 목적은 쉬바와 개체의 불이의 상태인 환희의식을 얻어 생전해탈자가 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분별의 제거의 구체적 행법을 아래와 같이 5단계로 분석한다. ①절대와 현상을 동일시한다. ②이 과정에 전념하면 일체 모든 현상이 떠오르는 매 순간의 의식이 바로 진아임에 점점 익숙해진다. ③그러면 빠르게 투리야와 투리야티타의 환희의식을 얻게 된다. 즉 현상과 절대의 불이를 체험하게 된다. ④이후에도 이를 더욱 확고히 수용함에 전념한다. ⑤마침내 일체의 의심이 다하고 환희의식은 완전한 상태에 이르러 분별이 있는 상태에서도 분별에 매이지 않는 생전해탈자가 된다. 이와 같이 생전해탈자가 되는 것이 이 수행법을 통해 얻게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ed only the dissolving mental constructs(vikalpa kṣaya) among many practice methods(upāya) in the 18th śloka of the Pratyabhijñāhṛdayam. Through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position of the dissolving mental construct in the Self-recognition theory (Pratyabhijñā-darśana), the aim of practice of Advaita śaiva, and a concrete method of the dissolving mental construct and by which what we attains in the end.
    The method of the dissolving mental construct reveals the essence of the Self-recognition and is the first and the only one in the Self-recognition theory. The theory of Advaita śaiva was the philosophical system constructed by Abhinavagupta who united the Self-recognition theory which rolls as a metaphysical base, with 3 kinds of thoughts, as like the Pulsation theory(Spand darśana), the Krama system, and the Trika system by which Abhinavagupta systematize the Advaita śaiva philosophy. The aim of Advaita śaiva practice is, attaining the bliss of consciousness(cidānanda) which is the experience that the universe and a individual being are not different, or the unity of the universe and a individual being, to become one who was liberated even while alive(jīvanmukta).
    This study analyzed a concrete method of the dissolving mental construct in five steps as below. ① Regard a individual being in the same light as the absolute truth. ② If devoted oneself to this regarding, we accustomed more and more to the understanding that each consciousness of every moment while all individual things were formed is the very real Self. ③ Then, we become to experience rapidly the bliss of consciousness of turya and turyātīta, or the non dual experience of the absolute and the individual being. ④ After that experience, we should devote ourself to accept firmly the truth of the experience, or the truth of non dual. ⑤ At last, by the disappearing of all doubt, and the perfect achievement of the bliss of consciousness, he becomes liberated even while alive, which is the very aim of this method called as the dissolving mental constructs, or vikalpa kṣa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