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진술증거의 입법방안 제시: 형사소송법 제310조의2를 중심으로 (Legislative Proposal for Digital Statement Evidence: Focusing on Article 310-2 of Criminal Procedure Law)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9
28P 미리보기
디지털 진술증거의 입법방안 제시: 형사소송법 제310조의2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 / 16권 / 2호 / 157 ~ 184페이지
    · 저자명 : 최용성, 곽대훈

    초록

    최근 제4차 산업정보기술의 발전으로 형사사건의 수사 및 재판에서도 종래부터 중시되어오 던 일반적 진술의 증거뿐만이 아닌 디지털 진술증거의 가치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진술증거란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거나 ‘전송’되는 증거가치 있는 진술정보로서, 그 진술증거는 ⒜ 매체독립성, ⒝ 취약성, ⒞ 비가시성·비가독성, ⒟ 익명성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동법 제310조의2의 진술증거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동일성 내지 무결성(진정성) 그리고 신뢰성 등의 선결요건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더 나아가, 그 진술증거의 ‘특수성’(특성, 선결요건 등)으로 인해 사람의 지각으로는 인식 불가능하므로, 대검예규인「디지털 증거의 수집․분석 및 관리 규정」제3조 제2호의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s) 절차를 거쳐야만 증거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동법 ‘제310조의2’는 전문이나 비전문진술 등의 인적(사람의 진술내용) 및 물적(물건의 존재·상태)증거에 기반을 둔 입법임에도 불구하고, 대법원(2013도2511 판결)은 ‘무체물’인 디지털 진술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해 전문법칙과 그 예외의 규정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미국과 달리 그 진술증거에 관해 ‘판례법’에 기초하지 않고 있고, 또한 전문법칙을 명문으로 선언하고 있는 ‘제310조의2’에 관련 진술(‘--정보저장매체에 입력하여 기억된 문자정보 또는 그 출력물….’)내용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전문법칙 ‘예외’인 제313조 등을 적용하기 전 충족되어야 할 전제조건을 갖추지 못한 측면이 있다. 더군다나, 전문법칙의 ‘원칙’규정인 제310조의2에 ‘종합적’ 디지털 진술증거를 포함시키지 못하고 있었고, 그 예외규정인 제313조만이 ‘개별적’ 디지털 진술증거를 포함시키고 있어 같은 ‘예외’규정인 제315조의 ‘컴퓨터 등에 저장된 통상 문서’를 디지털 증거로 포함하지 못한 입법상의 공백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법 제313조 제2항은 ‘제1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진술서의 작성자’라고 하여, 그 진술서만을 한정해 객관적 방법에 의한 성립의 진정을 인정함에 따라 동조 ‘제1항’의 진술기재 서류의 경우에 그 적용을 인정받지 못한 매우 제한적인 입법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법 제106조 ‘제3항’의 수집·복구·분석절차를 거친 디지털 진술증거가 공판정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증거능력을 인정받는지에 관하여, ⒜ 현행「형사소송법」체계상의 해석 및 한계에 대한 입법검토와 ⒝ 미국 입법례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그 진술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입법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By the rec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value of not only the evidence of general statement,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conventionally, but also the evidence of digital statement is being increased gradually in the investigation and trial of criminal cases. Here, the evidence of digital statement refers to the statement information having the value as a evidence 'stored' or 'transmitted' in the digital form and it has characteristics of (a) media independence, (b) vulnerability, (c) invisibility and illegibility and (d) anonymity, and to utilize it as an evidence of 'statement' provided by Article 310-2 of same law, it is required to meet the prerequisite of identity or integrity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Further, as it cannot be recognized with human perception due to the special characteristics (property, prerequisite, etc.), it can be used as evidence as long as it passes the procedures of 'digital forensics' procedure prescribed in Clause 2, Article 3 of "Regulation of Collection, Analysis and Management of Digital Evidence",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of Supreme Prosecutors' Office. In the meantime, although Clause 2 of Article 310 of same law is the legislation based on the human (contents of statement of a person) and material evidence (existence and condition of material) such as hearsay or non-hearsay statement, etc, Supreme Court (Judgement No. 2013DO2511) recognized the hearsay rule and its exception (Article 311 or Article 316) on the admissibility of the digital statement evidence, the intangible. However, differently from the United States, our country does not stand on the case law and does not provide the contents of related statement ('-- the text information recollected by storing in data storage media--') in the Article 310-2, which stipulates expressly the hearsay rule, the prerequisite to be met before applying Article 313, the exceptions for hearsay rule, has not been provided. Moreover, since 'Comprehensive' digital statement evidence is not included in Article 310-2, the fundamental provision of hearsay rule and only Article 313, the provision of its exception, includes 'individual digital statement evidence', there is a problem in the legislative void that cannot include the normal document stored in the computer, etc. of Article 315, the provision of same exceptions as a digital evidence. In addition, as Clause 2, Article 313 of same law provides that 'nevertheless of text in Clause 1, the writer of that statement...'. recognizing the true existence of evidence by objective method limited only to that statement, in case of the document containing the statement provided by 'Clause 1' of same article, its application is not recognized taking very limited legislative form. Therefore, regarding how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digital 'statement' evidence passed through the procedure of collection, restoration and analysis prescribed in 'Clause 3', Article 106 of same law is recognized in the court, this article proposed more systematic legislation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statement evidence through (a) the legislative review on the interpretation and limitation for the system of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and (b) the case analysis of legislation examples in the United St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