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尤庵 宋時烈의 수양 공부론 芻議 ― 도덕 실천의 토대 신뢰와 주재자 확립 ― (Peeping on Song SiYeol’s Theory of Self-Disciplin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5
27P 미리보기
尤庵 宋時烈의 수양 공부론 芻議 ― 도덕 실천의 토대 신뢰와 주재자 확립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69호 / 75 ~ 101페이지
    · 저자명 : 안재호

    초록

    우암은 주자학 그리고 율곡학의 정신과 전통에 깊이 공감하고 계승하려는 열망을 지니고, 또한 현실 세계의 바람직하지 못한 모습을 안타깝게 여기고 이를 개혁하려 노력한 성리학자이다. 그래서 그의 이론체계는 현실 혹은 잠재된 것이 발현한 결과에 주목하고, 그것을 이상적으로 이끌 것을 강조한다. 이런 우암의 의도는 直으로 표현되기도 하는, 純善한 근거에 대한 절대적 신뢰를 바탕으로 주체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주재자의 확립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존재의 근원인 리는 어떤 작위도 하지 않아서 활동의 주체인 心氣에 의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수양의 근거인 성리 등은 최고의 훌륭함이지만, 기질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으므로 수양 주체인 심기를 이상적인 상태로 확립해야 한다. 이에 따라 우암은 명덕 개념도 심기나 성리 어느 하나만이 아니라 심성정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주장했다. 또한 심이 성정을 온전히 보존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심 자신의 본래 상태를 견지하여 주재자로서의 신분을 엄정히 해야 한다.그래서 그는 주체인 심의 주재성을 확보할 수 있는 持敬 공부, 진위와 시비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성찰하고 궁리하는 공부를 강조했다.
    우암의 이런 공부론은 여타의 주자학자들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개념이나 명제, 혹은 새로운 체계 건립 등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그것은 객관 형식에 머무를 수 있는 천리를 인간의 능동성을 통해 실현하려는 노력이며, 주자학 체계에서 마땅히 강조되어야 하는 모습일 수밖에 없다. 물론, 인식과 판단을 위주로 하는 주체가 어떻게 의지를 촉발하는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은 우암 공부론의 근본 문제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Song SiYeol is a Neo-Confucian scholar who felt sorry for the undesirable aspects of the real world and tried to reform them. So his theoretical system focuses on the reality or the consequences of manifestation of latent things, and emphasizes the idealization of them. His these intentions can be realized, also expressed as honesty, based on the absolute confidence in pure good ground, through a clear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host. So he emphasizes the study that can secure the subject's primacy, and the study that clearly distinguishes true lies and right wrong.
    Song’s theory of self-discipline did not show any distinctive concepts, propositions, 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ystem, which distinguished it from any other Neo-Confucian scholar. But it's an effort to realize th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could be stayed in the form of objectives, through human activity, and a shape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Neo-Confucian system. Of course, It is a fundamental problem in Song’s theory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how a subject that focuses on perception and judgment triggers wi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후